'삼성물산 합병무효 소송' 이재용 1심 선고 뒤 결론

입력 2017-07-17 17: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투데이DB)
(이투데이DB)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무효 소송이 이재용(49) 삼성전자 부회장의 1심 선고 이후 이르면 10월 중 결론 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법 민사16부(재판장 함종식 부장판사)는 17일 옛 삼성물산 주주 일성신약이 삼성물산을 상대로 낸 합병무효소송 7차 변론에서 9월 18일 오후 4시 마지막 변론을 열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이 부회장의 구속 만기가 다음 달 27일인 거로 알고 있다"며 "9월 중순께 한 번 기일을 열고 10월 중순이나 말에 선고하겠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의 1심 선고를 지켜본 뒤 결론을 내달라는 일성신약 측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애초 재판부는 이날 변론을 끝내려 했으나 사건의 중대성을 고려해 기일을 한 차례 더 미뤘다.

이 부회장은 현재 삼성물산 합병 등 자신의 경영권 승계를 순조롭게 할 목적으로 박근혜(65) 전 대통령 측에 433억 원대 뇌물을 주거나 주기로 약속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이 부회장 사건을 심리 중인 형사27부(재판장 김진동 부장판사)는 다음 달 2일 결심공판을 연 뒤 내달 중 선고를 할 계획이다.

일성신약 측은 "9월 중순 이후면 박 전 대통령 판결 결과도 나오지 않을까 싶다"면서 "(결론이 나오면) 선고 직전까지 자료를 내겠다"고 밝혔다.

윤병강 일성신약 회장은 이날 재판부에 발언권을 얻어 직접 삼성물산 합병의 부당함을 주장했다. 윤 회장은 "(합병으로) 소액주주들이 약탈당했다. (삼성물산 측이) 불법행위를 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삼성물산 측은 "합병은 관련 법령과 절차를 준수해서 합법적으로 이뤄졌다"고 맞섰다. 삼성물산 측은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가 아닌 회사의 경영상 이익을 위해 합병했다고 꾸준히 주장해왔다.

앞서 이 재판부는 문형표(61)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홍완표(61) 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의 1심 선고 결과도 결론에 반영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에 삼성물산 합병을 찬성하도록 압박한 혐의로 기소된 문 전 장관과 홍 전 본부장은 지난달 1심에서 각각 징역 2년 6월을 선고받았다. 항소심 첫 재판은 25일 오전 10시에 열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01,000
    • +1.15%
    • 이더리움
    • 3,642,000
    • +3.73%
    • 비트코인 캐시
    • 572,000
    • -1.55%
    • 리플
    • 3,597
    • -1.64%
    • 솔라나
    • 248,400
    • +0.93%
    • 에이다
    • 1,151
    • -1.03%
    • 이오스
    • 1,250
    • -0.56%
    • 트론
    • 379
    • -1.81%
    • 스텔라루멘
    • 439
    • -3.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350
    • -0.35%
    • 체인링크
    • 24,090
    • +1.39%
    • 샌드박스
    • 504
    • -0.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