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 내년 예산안 희비 ... 주요 사업 변화 불가피

입력 2017-08-31 14: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년 정부 예산안이 429조 원 규모의 슈퍼 예산을 수립했지만 부처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 등은 올해보다 예산이 삭감된 반면, 본격적 재벌개혁에 나서는 공정거래위원회는 예산이 크게 늘어 업무에 힘이 실리고 있다.

31일 정부부처에 따르면 부처별 내년 예산안을 보면 공정거래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가 각각 6.5%, 0.04% 늘었다. 국토교통부와 산업부, 해양수산부은 각각 3.8%, 2.9%, 0.6%씩 줄었다.

공정위 내년 세출 예산은 1194억 원으로 전년(1121억 원)과 비교해 6.5% 증가했다. 이는 올해 세출예산의 증가율(1.9%)보다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예산 증대 요인은 대기업집단 전담 조직인 기업집단국 신설 등에 따른 인력 60명 증원이 가장 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보다 53억 원이 늘어난 14조4940억 원을 편성했다. 축산 사육환경 개선 및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상시 방역체계 구축에 16.0% 증가한 4775억 원이 책정됐다.

산업부는 올해보다 2.9% 줄어든 6조7706억 원을 편성했다. 주요 감액 사업은 해외자원개발인 광물자원공사·유전개발 출자 사업으로 400억 원 규모가 감액됐다.

특히 조선기자재업체 업종전환 한시 지원과 울산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 원자력환경공단 사옥 신축 사업 등에서 1001억 원 규모가 줄었다. 산업부의 중소기업 관련 업무도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되는 등 총 7개 사업 예산 3268억 원이 날아갔다.

해양수산부는 0.6% 줄어든 4조9464억 원의 예산안을 마련했다. 교통·물류는 2조3869억 원으로 2.0%(479억 원) 감액됐다. 이 중 항만은 1조2793억 원으로 올해보다 7.9%(1097억 원) 급감했다.

국토부 내년 예산안은 올해보다 3.8% 감소한 39조8000억 원을 편성했다. 도로·철도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대폭 삭감된 탓이다.

정부 관계자는 “한정된 재원 속에서 새 정부의 기조에 맞추다 보니 희비가 나뉠 수는 있다. 해마다 예산이 꾸준히 늘어난 부처들로서는 SOC 예산 등이 줄어든 요인이 크다”며 “예산이 증액된 공정위는 사실 인건비인 데다, 농림부 증액 예산도 소폭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한미 정상 첫 통화, 韓 대행 "조선, LNG, 무역균형 3대 분야서 협력" [종합]
  • 카카오, 선택과 집중…카카오엔터 매각 추진
  • K-제약·바이오, 항암신약 성과 ‘AACR 2025’서 뽐낸다
  • 매운소스 2t·닭 1200마리로 찾아낸 ‘불닭’ 매운맛, 자꾸만 생각나는 이유[K-라면 신의 한수③]
  • 배터리 ‘탈중국’ 속도 내지만…갈길 먼 소재업체 [공급망 전쟁의 서막③]
  • 금융지주 실적 갉아먹는 신탁사… 그룹 부실 최종 종착지[선넘은 신탁사 부실下] ①
  • 홍상수·김민희 득남…만남 10년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13: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944,000
    • -3.82%
    • 이더리움
    • 2,173,000
    • -8.62%
    • 비트코인 캐시
    • 407,100
    • -2.33%
    • 리플
    • 2,691
    • -5.45%
    • 솔라나
    • 158,400
    • -4.81%
    • 에이다
    • 843
    • -4.75%
    • 이오스
    • 993
    • -11.81%
    • 트론
    • 342
    • -1.72%
    • 스텔라루멘
    • 332
    • -4.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8,830
    • -4.99%
    • 체인링크
    • 16,490
    • -5.99%
    • 샌드박스
    • 355
    • -2.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