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금시세 인상의 15%는 북한발 리스크… 나머진 트럼프 불확실성 때문”

입력 2017-09-07 06: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으나 금시세 급등의 큰 원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고 골드만삭스가 5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이 주장에 논란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금시세 인상은 북한의 긴장 대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비율이 크다고 분석했다.

금시세는 7월 1온스에 1212달러 수준이었으나, 이번 주 올들어 최고치인 1342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번 주는 북한이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 한반도의 긴장이 극에 달해 있는 시점이기도 하다.

골드만삭스 측은 북한의 긴장 촉발이 금시세 인상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 그 비율이 15%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금값이 100달러 올랐다면 15달러만 북한발 리스크가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골드만삭스 측은 “달러 약세에 이어 지난 2개월동안 계속 이어져온 금시세 인상랠리(rally)의 가장 큰 원인은 워싱턴 때문이라는 점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 측은 또 금값 상승에 따른 이익이 계속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북한의 긴장이 실질적으로 점차 고조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올해 연말 금시세는 온스 당 1250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금리 및 금시세와 상관관계가 있는 ‘워싱턴 리스크’의 좋은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달러 약세와 함께 워싱턴 리스크가 최근 금값 상승 요인의 85%를 차지한다는 게 골드만삭스의 추론이다.

골드만삭스는 그러나 이러한 위험이 곧 희미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 측은 “허리케인 허비의 여파로 워싱턴에선 몇달내에 논쟁을 중단하고 지출법안을 통과시켜, 정부재정의 셧다운을 피하고 인프라 구축에 나서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정부재정의 셧다운 상태 가능성을 기존 35%에서 15%로 낮췄다. 또 달러가치가 떨어질 때 금은 좋은 헤지(hedge)자산이지만, 거시적인 변수가 사라진다면 지정학적 요인에 크게 영향받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한반도 정세가 금값 상승 랠리를 가속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의 긴장이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지만, 시장에선 더 큰 위험으로 갈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그러면서도 군사적 확대와 군축이 ‘테일리스크’(실제 일어날 가능성은 낮으나 일어날 경우 파장이 큰 위험)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879,000
    • -0.83%
    • 이더리움
    • 2,605,000
    • +0.58%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4.71%
    • 리플
    • 3,169
    • +0.32%
    • 솔라나
    • 214,200
    • -1.83%
    • 에이다
    • 1,018
    • -0.97%
    • 이오스
    • 977
    • -0.51%
    • 트론
    • 363
    • +3.42%
    • 스텔라루멘
    • 419
    • +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000
    • -11.48%
    • 체인링크
    • 21,350
    • -1.25%
    • 샌드박스
    • 444
    • +0.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