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 국내서 항암바이러스 학술 심포지엄 열린다

입력 2017-09-12 11: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1일 명지대서 개최... 오타와대, 모핏암센터 등 해외연사 중심으로 항암바이러스 및 적용가능 항암분야 소개

국내에서 항암바이러스를 본격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아시아지역에서 최초로 항암바이러스 학회가 열린다. 제 1회 '항암바이러스 국제 학술 심포지엄 및 아시아항암바이러스협회 창립총회'는 오는 21일(목) 오후 2시(14:00~18:00)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대강당에서 열린다.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이 주최하고 바이로큐어가 후원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는 항암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 치료에 접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세미나는 '새로운 항암치료의 패러다임: 항암바이러스,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New paradigm of cancer therapy: Oncolytic virotherapy, Where are we?)'란 주제로 진행된다.

이번 세미나에는 오타와대, 온타리오 연구센터, 모핏암센터 등 항암바이러스를 연구하고 있는 해외연사가 중심이 되어 발표할 예정이며, 김만복 바이로큐어 대표가 말기 위암에서 자체 발굴한 리오바이러스의 항암치료제 사용전략에 대해 설명한다. 크게 항암분야에서 연구 중인 항암바이러스 개발전략과 향후 항암바이러스를 적용할 수 있는 기술 및 항암분야에 대해 소개될 예정이다.

김만복 바이로큐어 대표는 "명지대가 암치료를 위해 항암바이러스 연구분야를 본격적으로 육성하기 시작한다"며 "항암바이러스는 2000년대 초에 태동한 분야로 아직까지 아시아지역에는 바이러스 학회가 없었기 때문에, 이 분야를 알리고 산업개발을 위한 교류의 장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후원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항암바이러스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직접 암세포를 공격(lysis)하는 작용 외에도 암백신 처럼 작용해 전체적인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데 있다. 최초로 승인받은 치료제로는 2015년 미국식품의약국(FDA)로부터 암젠의 임리직(제품명: T-VEC)이 있다.

항암바이러스가 갖는 중요성은 최근 각곽받고 있는 면역항암제의 20%에 불과한 환자 반응률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흑색종 환자에서 임리직 단독투여와 비교해 키트루다 여보이와 병용투여할 경우 그 반응률이 두배 이상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다국적 제약사들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치료를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항암바이러스 파이프라인 확보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베링거인겔하임, 화이자가 항암바이러스 스타트업에 과감히 투자한데 이어 면역항암제 선두주자인 BMS도 포함돼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286,000
    • +2.24%
    • 이더리움
    • 2,268,000
    • -0.26%
    • 비트코인 캐시
    • 457,600
    • +5%
    • 리플
    • 2,940
    • -0.1%
    • 솔라나
    • 175,500
    • +3.66%
    • 에이다
    • 905
    • -1.2%
    • 이오스
    • 899
    • -5.67%
    • 트론
    • 354
    • +1.72%
    • 스텔라루멘
    • 341
    • -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500
    • +1.12%
    • 체인링크
    • 18,320
    • +0.66%
    • 샌드박스
    • 380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