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분석] 제일제강, 도심재생사업 덕 보나? “직접 관련 없다”

입력 2017-10-20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17-10-20 08:50)에 Money10을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종목돋보기] 제일제강의 주가가 꿈틀거리고 있다. 새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련주로 투자자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 여기에 최근에는 4대강 재자연화 이슈까지 더해졌다. 하지만 제일제강 측은 직접 관계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제일제강의 주가는 11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10거래일 동안 상승한 날은 8일. 그 사이 주가는 7%가량 뛰었다.

제일제강은 선재 및 이형철근 등을 생산하는 건설용 철강 전문회사로 1964년 설립됐다. 코스닥에는 1994년 상장됐다. 다만, 지난 19일 기준 시가 총액은 294억 원으로 몸집이 작은 편이다.

주가 오름세에는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영향을 미쳤다. 시장에는 이화공영 등 몇몇 건설회사와 함께 관련주로 분류되는 까닭이다. 이 사업은 정부의 재원 및 공기업 투자 등 연간 10조 원씩을 5년간 투입하는 사업으로 정부는 연내 110여 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여기에 4대강 재자연화 추진 기대감도 더해졌다. 전날 수자원공사는 국정기획위 업무보고를 통해 “4대강 재자연화를 추진해 4대강 사업에 대한 데이터 공유 등을 통해 공정한 재평가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곧바로 도시재생 관련 종목에 영향을 미쳤다. 토목회사인 이화공영은 상한가를 기록했고, 환경생태복원사업을 하는 자연과환경은 8.7% 치솟았다.

다만, 제일제강에까지 호재로 작용하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 관계자는 “직접 관련은 없다”면서 “자재회사라 건설사가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 발주가 늘지만, 아직 주문량은 평소 수준”이라고 말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몸집이 작은 중소형 주일수록 테마에 쉽게 엮인다”면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종목의 경우 직접 혜택 여부를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제일제강은 지난해 매출 373억 원, 영업익 3억 원을 기록했다. 직전해 45억 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308,000
    • +0.67%
    • 이더리움
    • 2,318,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454,600
    • +2.43%
    • 리플
    • 3,003
    • +1.59%
    • 솔라나
    • 180,800
    • +4.75%
    • 에이다
    • 919
    • -0.65%
    • 이오스
    • 879
    • -4.97%
    • 트론
    • 362
    • +3.72%
    • 스텔라루멘
    • 347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60
    • +0.19%
    • 체인링크
    • 18,530
    • +1.09%
    • 샌드박스
    • 380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