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수주 경쟁을 피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펼칠 수 있는 컨소시엄 아파트를 늘리는 가운데 소비자 입장에서 컨소시엄 아파트는 한 가지의 장점도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시공능력 평가 순위 열 손가락에 드는 대형 건설사들이 올 연말까지 분양하는 컨소시엄 아파트는 3만318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반기(8~12월) 2만4999가구가 분양돼 올 상반기(5319가구)보다 크게 늘었다.
컨소시엄 아파트는 건설사 입장에서 사업 위험성을 분산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우선 대단지 미분양 등으로 적자가 발생해도 시공사별 위험 부담을 분산할 수 있어 이점이다. 여기에 수주에 참여하면서 경쟁보다 연합을 선택, 입찰 단가를 떨어뜨릴 필요 없이 시행사로 선택받을 수 있다. 그만큼 수익성을 높이는 셈이다.
반면 소비자 입장에서 컨소시엄 아파트는 단점투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재건축사업 측면에서 볼 때 컨소시엄 시공은 단독 시공보다 공사비가 더 들고 공사 기간도 더 걸리는 편이다. 컨소시엄 시공사들은 경쟁을 거치지 않아 공사비와 공사 기간을 줄일 유인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하자 관련 소송에 대해서도 컨소시엄 아파트는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 소비자에게 피해를 전가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시공사를 찾는 재건축 단지 중에는 입찰자격에 ‘공동참여 불가’를 조건으로 거는 곳이 많이 나타났다.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사업인 반포주공 1단지 1·2·4주구, 잠원 한신 4지구 등이다.
컨소시엄 아파트의 복잡한 단지명이 아파트 가치를 떨어뜨린다는 우려도 있다.
송파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단독시공 아파트의 경우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명이 심플하게 달려 부르기도, 기억하기도 쉽다”며 “컨소시엄 아파트 단지명은 두 브랜드가 섞이면서 복잡해져 이를 신경 쓰는 손님이 많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