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韓中 정상회담 계기로 중국진출 박차

입력 2017-12-15 10: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매출 67조 중국 최대 협동조합에 한국관 개설·독점공급 MOU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경제사절단에 동행한 김병원 농협중앙회장이 농협의 중국 진출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농협중앙회는 중국 베이징에서 중화전국공소합작총사와 농식품 및 농자재 수출, 금융사업 협력 등 양국 협동조합 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농협은 이번 MOU를 계기로 △농식품 및 종자 수출 △원가 절감을 위한 비료원료(요소) 직거래 △금융회사에 대한 지분투자 △합자금융회사 설립 등 공소합작총사 계열사와 다방면에 걸친 협력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공소합작총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공소e家’에 한국관을 개설해 모든 상품을 독점 공급하기로 했다. 우선 농협홍삼 등 8개 주력 품목을 판매할 예정이다. 공소합작총사의 중국 내 온라인 매출액은 지난해 기준 연간 67조 원 규모다.

이번 방중에서 농협금융지주도 공소합작총사 산하 국유기업인 공소집단유한공사와 지난해 체결한 MOU(효력기간 2년)를 갱신했다. 합작손해보험사 및 중외합자은행 설립, 임원급 조정위원회 신설 및 정례화, 실무 태스크포스(TF) 운영 강화, 상호연수 확대, 디지털 금융 도입 등 다각적인 협력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농협의 이번 MOU는 한·중 정상회담에 맞춘 공소합작총사의 초청을 통해 이뤄졌다. 이에 한국과 중국의 협동조합 간 협력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공소합작총사는 중국의 3농(농업, 농촌, 농민) 정책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농민의 사회경제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 직속기관이다. 20만 개의 회원조합과 340만 명의 임직원으로 구성된 중국 최대 협동조합이다.

김 회장은 “한국 농협과 중국 공소합작총사는 농업인 소득 증대 및 복지 증진, 농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공통된 목표를 갖고 있다”며 “한국과 중국의 협동조합을 대표하는 두 기관이 이번 MOU를 통해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MOU를 매개로 양국 농업과 농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협력+경쟁’ 시대…산업 생태계 新 생존 키워드 [2025 ‘코피티션’ 上]
  • 전 세계 中 공세 '방어막'…무방비국 된 韓 [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 下]
  • 의대생 수업 복귀 ‘미지수’…강의실 ‘텅텅’ [의대정원 ‘동결’ 그 후]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폴더블폰 전쟁 뛰어든 애플… 삼성의 '위기와 기회'
  • “트럼프 투자 요구할라” 셈법 복잡해진 조선사들
  • 모은 돈이 세력?…이재명·한동훈, 후원금도 경쟁 붙은 2025 대선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09:5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075,000
    • +5.6%
    • 이더리움
    • 2,502,000
    • +10.95%
    • 비트코인 캐시
    • 514,500
    • +5.06%
    • 리플
    • 3,162
    • +5.65%
    • 솔라나
    • 211,800
    • +7.9%
    • 에이다
    • 972
    • +8.72%
    • 이오스
    • 947
    • +4.3%
    • 트론
    • 354
    • -0.84%
    • 스텔라루멘
    • 381
    • +6.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860
    • +5.94%
    • 체인링크
    • 20,110
    • +7.03%
    • 샌드박스
    • 420
    • +8.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