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 김영상 포스코대우 사장 “주요 사업군을 기반으로 밸류체인 확대할 것”

입력 2018-01-02 14: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포스코대우)
(사진제공=포스코대우)

김영상 포스코대우 사장은 “포스코대우는 중장기적으로 철강, 에너지, 식량, 자동차 및 부품, 물류와 같은 회사 주요 사업군을 기바으로 밸류체인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신년 바람을 밝혔다.

2월 김 사장은 인천 송도 포스코대우 사옥에서 팀장급 이상 임직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무식을 진행했다. 김 사장은 “올해 세계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탈 세계화의 움직임, 극단적인 자국 이기주의의 확산으로 우리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김 사장은 “전 사업분야 밸류체인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신규 사업모델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사장은 “철강 사업에선 유통 및 설비 분야의 투자를 본격화했고, 자원개발 사업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지속할 것이며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는 해외 부품 생산거점을 확보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김 사장은 “중점 육성 사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덧붙여 전략 국가별로 사업을 구체화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김 사장은 “특히 인도에서는 사업 규모를 지속 확대하고 방글라데시에선 에너지 밸류체인을 연계한 사업에 주목하며 미얀마에서는 추가 발전소 수주, 우즈베키스탄에선 다수 프로젝트가 실행되도록 하겠다”고 계획를 밝혔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회사 내부의 변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사장은 “우리 스스로 글로벌 회사라고 부르지만 진정한 글로벌 회사로 나아가기 위해선 함께 힘을 모아 회사의 문화와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때론 과감히 업그레이드 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영업방식, 인력운용 체재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제도와 프레임, 도입에 주저하지 않을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역량을 제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김 사장은 회사의 공정 경쟁과 거래 질서 유지를 위해 공정거래 자율준수 문화를 구축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311,000
    • +2.14%
    • 이더리움
    • 2,723,000
    • +4.45%
    • 비트코인 캐시
    • 588,500
    • +11.25%
    • 리플
    • 3,113
    • +2.4%
    • 솔라나
    • 215,300
    • +2.87%
    • 에이다
    • 1,003
    • +3.51%
    • 이오스
    • 1,182
    • +15.09%
    • 트론
    • 354
    • +1.72%
    • 스텔라루멘
    • 385
    • +3.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00
    • +5.1%
    • 체인링크
    • 20,770
    • +5.16%
    • 샌드박스
    • 411
    • +5.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