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北 핵실험장 폐쇄 5월 중 실행”…‘대외 공개’ 합의

입력 2018-04-29 11: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 “기존 시설보다 더 큰 두 개의 갱도 있어…아주 건재”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열린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실험장을 폐쇄할 때 대외에 공개하겠다는 데 합의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9일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이 핵 실험장 폐쇄를 대외에 공개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윤 수석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북부 핵실험장 폐쇄를 5월 중에 실행할 것”이라고 말하고 “이를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한미 전문가와 언론인을 북으로 초청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못 쓰게 된 것을 폐쇄한다고 하는데, 와서 보면 알겠지만 기존 실험 시설보다 더 큰 두 개의 갱도가 더 있고 이는 아주 건재하다”고 했다.

북한은 20일 조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3차 전원회의에서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하고 핵 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중지를 발표한 바 있다.

윤 수석은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즉시 환영했고, 양 정상은 준비되는 대로 일정을 협의키로 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핵으로 인한 미국과의 갈등을 언급하면서 지속적인 신뢰를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이 북한에 대해 체질적 거부감을 갖고 있지만, 우리와 대화해보면 내가 남쪽이나 태평양상으로 핵을 쏘거나 미국을 겨냥해서 그럴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자주 만나 미국과 신뢰가 쌓이고 종전과 불가침을 약속하면 왜 우리가 핵을 가지고 어렵게 살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조선전쟁의 아픈 역사는 되풀이하지 않겠다. 한민족의 한 강토에서 다시는 피 흘리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결코 무력 사용은 없을 것임을 확언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우발적 군사충돌과 확전 위험이 문제인데 이를 제도적으로 관리하고 방지하는 실효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윤 수석은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69,000
    • -0.23%
    • 이더리움
    • 2,636,000
    • +0.84%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2.46%
    • 리플
    • 3,164
    • +0.48%
    • 솔라나
    • 208,700
    • -1.37%
    • 에이다
    • 1,000
    • +0.1%
    • 이오스
    • 1,027
    • -0.77%
    • 트론
    • 355
    • +0.28%
    • 스텔라루멘
    • 38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50
    • -1.76%
    • 체인링크
    • 20,240
    • -1.84%
    • 샌드박스
    • 402
    • -4.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