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스티븐 연 '욱일기 논란'에 "아직 제대로 반성 안 해…변명으로밖에" 무슨 일?

입력 2018-05-13 13: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출처=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한국홍보대사'로도 유명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배우 스티븐 연의 욱일기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서경덕 교수는 13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스티븐 연의 사과문을 캡처한 사진과 함게 "아직 제대로 반성을 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서경덕 교수는 "한국계 미국인 배우 스티븐 연이 자신의 출연작인 영화 '메이햄'을 연출한 조 린치 감독 사진에 '좋아요'를 눌렀다. 그러나 조 린치 감독이 어린 시절 욱일기로 만든 옷을 입고 있던 사진이기 때문에 현재 큰 논란이 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하지만 한국어 사과와 영어로 된 사과가 확연히 다른 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다"며 "한국어로는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지만 영어로 된 사과문에서는 '이번 일은 문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스마트폰에서 넘기기 한번, 실수로 좋아요를 누른 것, 생각 없이 스크롤을 움직인 것으로 사람을 판단한다. 인터넷상의 세상은 굉장히 취약하다. 우리를 표출하는데 이런 플랫폼을 쓰고 있다는 게 슬프다'고 했는데 이 같은 글은 자칫 '인터넷 상에서의 실수 한 번으로 사람을 재단한다'고 해석된다"고 주장했다.

서경덕 교수는 "스티븐 연이 이런 글을 올렸다는 건 아직 제대로 된 반성을 하고 있지 않다는 뜼"이라며 "지난 10여 년간 '전 세계 욱일기 퇴치 캠페인'을 펼쳐온 저로서는 이번 영어 사과문은 그야말로 변명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말 실수였고 이번 계기로 욱일기에 대한 뜻을 정확히 알았다고, 다시는 이런 실수를 하지 않겠다는 영어 사과문을 진심으로 올렸다면 이렇게까지 뭇매를 맞지 않았을 것"일며 "우리의 역사는 우리 스스로가 지켜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앞선 11일 스티븐 연은 조 린치 감독의 글에 '좋아요'를 눌렀으나 해당 게시물에는 욱일기 디자인 셔츠를 입은 소년의 모습이 담겨 있어 논란이 일었다. 이후 스티븐 연은 영어와 한국어 두 가지 버전으로 사과문을 게재했고, '몰아간다'는 듯한 뉘앙스의 영어 사과문에 네티즌 불만이 더욱 거세졌다. 스티븐 연은 현재 사과문을 삭제한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강원 인제 산불 사흘만 재발화…확산 가능성은?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0: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75,000
    • -0.45%
    • 이더리움
    • 2,606,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522,500
    • -2.43%
    • 리플
    • 3,235
    • -2.59%
    • 솔라나
    • 211,700
    • -0.98%
    • 에이다
    • 1,006
    • -1.28%
    • 이오스
    • 981
    • -1.21%
    • 트론
    • 353
    • -2.22%
    • 스텔라루멘
    • 402
    • -1.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550
    • -4.47%
    • 체인링크
    • 21,150
    • -3.42%
    • 샌드박스
    • 420
    • -3.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