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예산안 등 내주 대형 이벤트… 신흥국 불안·고용쇼크에 ‘금리동결’ 관측

입력 2018-08-25 11: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다음 주 한국은행의 8월 금융통화위원회가 예정된 가운데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고용시장이 사상 최악으로 얼어붙은 데다, 신흥국 불안으로 글로벌 시장이 요동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내년도 경제계획이 담긴 예산안도 확정될 예정이다.

25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오는 31일 열리는 한은 금통위에서는 금리동결이 유력하게 전망되고 있다. 지난달 이일형 금통위원이 금리 인상 소수의견을 내면서 인상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7월 고용지표 발표 이후 분위기가 반전됐다.

통계청이 지난 17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8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000명 증가했다. 2010년 1월 이후 8년 6개월 만에 가장 저조한 수치다. 특히 제조업 분야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실업자 수도 전년 대비 8만1000명 증가한 103만9000명을 기록했다.

신흥국 불안으로 글로벌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국내 고용동향까지 부진하면서 시장 불안감이 커졌다. 영세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부각되고 물가 상승률이 높아질 징후가 뚜렷하지 않은 점 등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이다.

다만,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아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한은이 일단 칼을 뽑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는 점을 무시할 순 없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 금리를 올리고 인상 성향을 강하게 드러낸다면 한은 역시 고민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

금통위 관전 포인트는 인상 소수의견과 경제전망 변화 가능성 여부다. 시장에선 한은이 지난해 6월부터 이어온 통화정책 완화정도 조정 기조를 단번에 전환하지는 않으리라고 예상한다. 고용시장은 악화했지만 성장률이나 수출, 소비 등 거시 경제지표는 비교적 안정적이란 이유에서다.

한편, 정부는 28일 국무회의를 열고 2019년 정부 예산안을 확정, 발표한다. 정부 예산안은 31일 국회에 제출된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일자리 창출과 사회안전망 확충,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최대한 확장적으로 편성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중요 거시지표들이 발표된다. 한은은 8월 소비자심리지수(28일)와 기업경기 실사지수(30일) 등 경제 심리지표를 발표한다. 31일엔 통계청이 7월 산업활동 동향을 발표한다.

금융위는 29일 김용범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혁신 추진 방향을 두고 의견을 수렴하는 ‘금융발전심의회 전체회의’를 연다. 혁신 성장을 위한 금융부문 지원 방향과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행유예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70,000
    • -1.08%
    • 이더리움
    • 2,692,000
    • -2.53%
    • 비트코인 캐시
    • 450,800
    • -1.7%
    • 리플
    • 3,025
    • -2.92%
    • 솔라나
    • 175,500
    • -4.98%
    • 에이다
    • 962
    • -3.32%
    • 이오스
    • 1,201
    • +1.26%
    • 트론
    • 348
    • -1.14%
    • 스텔라루멘
    • 388
    • -2.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530
    • -2.11%
    • 체인링크
    • 19,170
    • -3.91%
    • 샌드박스
    • 385
    • -3.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