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6개월' 홍영표 "협치 제도화 통해 민생 국회 반드시 실현"

입력 2018-11-12 18: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광주형 일자리 완수…탄력 근로제 조속히 입법 처리하겠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사진=고이란 기자)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사진=고이란 기자)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2일 남은 임기 6개월 동안 "광주형 일자리를 성공시키는 등 협치의 제도화를 통해 민생 국회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취임 6개월 기자 간담회를 갖고 "15일 본회의에서 국민 안전과 민생을 위한 입법을 처리하고, 생산적 국회를 만들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규제 혁신 입법과 정치 개혁, 아동 수당법 개정 등 나머지 여야정 합의안도 처리해야 한다"며 "각 당 정책위의장과 원내수석부대표가 참여하는 여야 법안 협상 TF를 조속히 가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성폭력범죄처벌특례법, 형법 개정안, 채용절차공정화법 등에 대한 상임위 심사도 조속히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또 국회로 넘어온 예산안을 법정 시한 내 처리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그는 "내년도 예산은 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하다"며 "생산적이고 건설적인 대안에 대해서는 민주당도 귀를 열고 경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광주형 일자리에 관한 합의가 도출 되는 즉시 야당과 협의해 국가 예산 지원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탄력 근로제와 관련해 조속히 입법 처리하겠다"며 "공정 경제와 경제 민주화 입법은 '함께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통과시켜야 할 법안이다. 공정 거래법, 상법 개정안, 가맹사업법, 대중소기업상생협력법 등 관련 법안을 야당과 충분히 협의해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원격 의료에 대해선 "여당 내 일부 이견이 있었는데 해결했다.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시킬 것"이라며 "(원격 의료를) 다 하는 것이 아니라 도서 지역 등 먼저 하는 방안으로 처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산 정국에서 정부가 경제 사령탑을 전격 교체한 것과 관련, "예산 심의는 김동연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차질 없이 할 것"이라며 "홍남기 신임 경제 부총리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예산 심사 이후 실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64,000
    • +1.29%
    • 이더리움
    • 2,373,000
    • +3.72%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10.33%
    • 리플
    • 3,083
    • +5.04%
    • 솔라나
    • 186,500
    • +6.45%
    • 에이다
    • 939
    • +3.53%
    • 이오스
    • 982
    • +7.44%
    • 트론
    • 359
    • +1.41%
    • 스텔라루멘
    • 356
    • +5.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910
    • +2.78%
    • 체인링크
    • 18,860
    • +2.67%
    • 샌드박스
    • 391
    • +2.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