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계 당과의 전쟁…맘스터치 피자마루 등 당 줄이기 나서

입력 2018-12-07 10: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맘스터치)
(맘스터치)

‘덜 달게, 더 건강하게’라는 슬로건의 당 저감 운동이 외식프랜차이즈 업계에 확산되고 있다.

버거&치킨 브랜드 맘스터치는 시그니처 메뉴인 햄버거와 탄산음료(에이드)의 조리법과 재료를 변경해 당 줄이기에 나섰다. 에이드 음료의 경우 기존 탄산음료 대신 탄산수를 사용함으로써 당을 줄였다. 탄산수로 변경시 탄산음료 대비 32g의 당을 줄일 수 있다.

피자 프랜차이즈 피자마루도 콜라, 사이다 등의 탄산음료 대신 탄산수로 음료를 대체하는 방법을 고려중이다. 단 맛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적극적인 홍보를 하는 한편 당 저감화에 대한 메뉴와 영양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카페 프랜차이즈 커피베이는 당 함량을 줄인 메뉴 개발에 들어갔다.

커피베이 관계자는 “고객 중 75% 이상이 기존의 당도를 선택하는 등 익숙한 맛에 대해 변화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고객에게 저당화를 친숙하게 만드는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 커피베이는 기존 첨가당 대비 최대 50% 이상 당 함량을 감소한 저당메뉴 개발에 이어 메뉴판이나 POP 등의 노출을 통해 저당 메뉴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중이다.

식약처는 지난 2016년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당류 섭취량을 1일 총 에너지 섭취량(열량)의 10% 이내로 낮추기로 했다.

식약처 조사결과 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 섭취량이 하루 열량의 10% 이상을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비만 위험이 39%, 고혈압은 66%, 당뇨병은 41%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비만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연간 6조8000억원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어 적정 수준으로 당류 섭취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 우리나라 어린이·청소년·청년층(3∼29세)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지난 2013년에 이미 섭취기준(10% 이내)을 초과했다. 어린이·청소년 약 2명 중 1명(46.3%)은 당류를 과다 섭취하고 있다.

장재남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장은 “‘덜 달게, 더 건강하게’라는 슬로건으로 행동변화를 실천하는데 더 많은 프랜차이즈 외식업체들이 참여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294,000
    • +3.45%
    • 이더리움
    • 2,328,000
    • +2.24%
    • 비트코인 캐시
    • 493,500
    • +2.53%
    • 리플
    • 3,034
    • +2.29%
    • 솔라나
    • 198,300
    • +0.51%
    • 에이다
    • 914
    • +3.28%
    • 이오스
    • 927
    • -1.49%
    • 트론
    • 349
    • -1.13%
    • 스텔라루멘
    • 372
    • +6.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90
    • +0.82%
    • 체인링크
    • 19,140
    • +0.9%
    • 샌드박스
    • 401
    • +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