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황달. 하지만 이를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황달이 발생하게 되면 많은 부모가 놀란 가슴을 부여잡는다. 어느 정도가 괜찮은 것이고, 또 황달이 얼마나 더 심해져야 안 좋은 건지 애매하기 때문이다.
황달은 빌리루빈 대사 장애로, 대사 되지 못했던 황색 색소들이 피부로 침착해 피부색이 누렇게 되는 것을 말한다. 빌리루빈 대사의 경우 간에서 이뤄져 황달이 있으면 간의 이상을 의심하게 된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 간이 덜 발달 됐기 때문에 황달에 잘 걸리게 된다. 신생아의 간은 적혈구에서 방출된 빌리루빈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이 때문에 산달을 다 채우고 태어난 신생아의 경우에도 60%나 황달에 걸리는 것이다.
황달이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소변 색깔이 짙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빌리루빈 때문에 소변이 진한 갈색을 띠게 된다. 다만 신생아의 경우 생리적 황달로 볼 수 있다. 태어난 지 24시간이 지난 후 황달이 생기며, 3일째에 가장 심하다. 1~2주쯤 지나면 신생아의 황달은 거의 사라진다. 생리적 황달의 경우 소변이나 대변의 색깔은 정상이다.
신생아 황달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생리적 황달은 대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드물게 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황달에 걸린 신생아가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다면 빌리루빈 뇌증이나 핵황달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 급성 빌리루빈 뇌증이나 핵황달은 뇌를 손상시킬 수 있고 발달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생후 1주일 이내의 초기에는 모유 섭취가 부족해 발생하는 조기모유황달 가능성이 높다. 이때는 잦은 수유와 충분한 영양공급이 필요하다. 생후 2~3주에는 모유 수유로 인한 황달이 걸릴 수 있다. 이때는 하루 정도 모유 수유를 중단하면 바로 좋아지는데, 수유 중단 후에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다.
또 몸까지 황달이 진행되거나, 생후 3주 이후에도 황달이 지속된다면 질병 원인의 가능성이 높다. 이외에도 황달과 함께 복부 팽만이나 간이 커지거나, 대변 색이 회색빛으로 변하는 등의 증상을 발견한다면 즉시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김범수 아이튼튼소아청소년과 원장은 "대부분 신생아 황달은 일시적이다. 심각한 질병의 가능성은 낮지만 조금이라도 질병이 의심되면 전문의의 진료를 꼭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