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는 여행 tip] 3·1운동 100주년…광화문에서 역사 발자취 좇기

입력 2019-02-1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관광공사, 2월 가볼 만한 곳

▲우정총국은 1884년에 문을 연 국내 최초 우체국이다.(사진제공=이하 한국관광공사)
▲우정총국은 1884년에 문을 연 국내 최초 우체국이다.(사진제공=이하 한국관광공사)

광화문에서 도보로 10분 남짓이면, 1884년 국내 최초로 문을 연 우체국인 우정총국에 닿을 수 있다. 이곳은 김옥균과 박영효 등 개화당이 갑신정변을 일으킨 역사의 현장이다. 거사가 삼일천하로 끝나고 우정총국은 폐쇄됐다.

이후 우정총국 건물은 학교와 기념관으로 쓰이다가, 2012년 우편 업무를 다시 시작하고 사료를 전시하는 등 우정 문화의 상징적인 장소로 새롭게 태어났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우정총국 초대 총판이었던 개화당 홍영식의 흉상이 관람객을 맞는다. 아담한 공간에 한복을 입고 갓을 쓴 채 우편 가방을 든 초창기 집배원 모형, 당시 사용한 날짜 도장 등 볼 만한 전시물이 제법 있다.

▲한복을 입고 갓을 쓴 채 우편 가방을 든 초창기 집배원 모형.
▲한복을 입고 갓을 쓴 채 우편 가방을 든 초창기 집배원 모형.

광화문 교보문고 앞 사거리 모퉁이에 있는 옛날 건물은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전'이다. 칭경(稱慶)이란 경사스러운 일을 기뻐한다는 뜻이다. 어떤 경사스러운 일인가? 고종이 왕위에 오른 지 40년이 된 것, 70세 이상 고위 관리들의 공식 모임인 기로소의 멤버가 된 것(왕도 나이가 들면 기로소에 가입했다), 나라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황제가 된 것 등이다.

▲광화문 교보문고 앞 사거리 모퉁이에 있는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전'.
▲광화문 교보문고 앞 사거리 모퉁이에 있는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전'.

하지만 기념비의 당사자인 고종의 이후 삶은 고단했다. 기념비가 서고 3년 뒤인 1905년, 조선은 일본과 을사늑약을 맺고 외교권을 상실한 보호국으로 전락했다가 결국 일본에 합병됐다. 이 과정에서 고종도 강제로 퇴위되어 쓸쓸한 말년을 보냈다.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전에서 광화문 쪽으로 올라가다가 주한미국대사관을 지나면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나온다. 우리 근현대사를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대한민국의 태동'이라는 주제로 꾸민 제1전시실은 1876년 개항부터 1945년 해방까지 역사를 다룬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1전시실에는 우리 역사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태극기를 한데 모아 전시한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1전시실에는 우리 역사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태극기를 한데 모아 전시한다.

이어지는 제2전시실에서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한국전쟁의 비극, 전후 폐허를 극복하는 과정을, 제3전시실은 1960~1980년대 산업화와 민주화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제4전시실에서는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의 최근 모습을 보여준다.

광화문 사거리에서 사직단 쪽으로 가는 길에 있는 경희궁은 조선의 5대 궁궐 중 하나다. 한때 전각만 120채가 넘었지만,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거의 공중분해 수준으로 해체되어 지금은 건물 4채가 복원됐을 뿐이다. 정문인 흥화문은 떼어내어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는 사찰의 정문으로 쓰이다가 우여곡절 끝에 지금의 자리로 돌아왔다.

▲역사의 아픔이 남아 있는 경희궁 흥화문.
▲역사의 아픔이 남아 있는 경희궁 흥화문.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제사령탑 부재에 韓경제 적신호...'0%대 성장률' 현실화하나
  • 폐업자·영세사업자 재기 지원…은행권, 금융안전망 구축
  • 캐즘 늪 빠진 K배터리, 허리띠 졸라매고 신시장 공략
  • 메모리 시장에서 밀린 삼성전자…반전 노릴 '킥'은 [ET의 칩스토리]
  • 턴제 RPG와 액션 RPG의 조합, ‘클레르 옵스퀴르:33원정대’ [딥인더게임]
  • 4월 아파트 거래 어디로 쏠렸나?…토허제 풍선효과에 양천·마포 ‘집중’
  • 5월 연휴 끝나면 美 FOMC…고용·기대 인플레 변화 핵심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920,000
    • -2.47%
    • 이더리움
    • 2,573,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501,500
    • -1.96%
    • 리플
    • 3,031
    • -3.13%
    • 솔라나
    • 207,500
    • -1.61%
    • 에이다
    • 937
    • -5.16%
    • 이오스
    • 1,010
    • +2.33%
    • 트론
    • 352
    • -0.85%
    • 스텔라루멘
    • 367
    • -4.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850
    • +0.67%
    • 체인링크
    • 19,290
    • -4.93%
    • 샌드박스
    • 389
    • -2.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