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재무분석] 효성화학, 베트남 1.4조 투자 승부수…재무부담 가중

입력 2019-02-14 18: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효성화학이 베트남 화학 공장 프로젝트에 약 1조4000억 원(12억8600만 달러)을 투입한다. 최근 과감한 투자 결정을 해 온 효성화학은 재무부담 가중에도 불구하고 시장 확대 및 원가율 축소를 위해 베트남 현지 투자를 진행 중이다.

◇동남아 시장 확대 위한 과감한 투자 = 효성화학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베트남 화학 공장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프로판 탈수소 공장(PDH), 폴리프로필렌(PP) 생산 공장, LPG저장소(Cavem), LPG 및 석유화학제품 부두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해당 신규 공장은 베트남 바리아 붕따우성 떤탄현 까이멤 공단에 위치한다.

베트남 투자 이유는 원료인 LPG부터 PP까지 일괄 생산체제를 구축, 시장 성장성이 높은 베트남, 중국, 기타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총 60만 톤의 PP 설비 가운데 30만 톤은 2019년 말 완공된다. 해당 설비는 2020년 초부터 실적이 가시화될 예정이다. 전체 설비가 가동되는 2021년은 나머지 30만 톤을 가동한다. 완전 가동 시 예상되는 해당 설비 매출 규모는 연간 약 1조1000억 원(약 10억 달러, 2021년 판매가격에 따라 변동 가능)으로 추정된다.

효성화학이 PP에 강점이 있어 관련 시장 확대를 우선순위로 두는 모습이다. 실제 효성화학의 포트폴리오는 PP, TPA(테레프탈산), 필름(PET필름, 나일론필름, TAC필름), NF3(삼불화질소) 등이며, 전체 매출의 약 60%가 PP에서 발생한다.

◇외부 차입으로 1조2000억 투자금 조달 = 베트남 화학공장 프로젝트는 총투자 금액 중 약 1조2000억 원을 외부 차입을 통해 마련한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효성화학의 2018년 9월 말 연결기준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각각 346.1%, 58.8%로 재무부담이 높은 편이다. 업계에선 효성화학의 차입금 부담을 과중한 수준으로 판단한다.

그나마 높은 부채비율을 상쇄하는 지표는 ‘총차입금/EBITDA’와 낮은 단기성 차입금 비중이다. 효성의 ‘총차입금/EBITDA’는 약 3배이며, 이는 현금창출능력 대비 차입금 규모를 뜻한다. 배수가 낮을수록 부채 대응 능력이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효성의 단기상환부담(단기성차입금 비중 34%)이 높지 않고, 보유 자산가치(담보제공 유형자산 채권최고액 5350억 원), 상장사로서의 자본시장 접근성 등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552,000
    • -5.55%
    • 이더리움
    • 2,636,000
    • -6.49%
    • 비트코인 캐시
    • 439,900
    • -4.66%
    • 리플
    • 2,981
    • -6.79%
    • 솔라나
    • 169,200
    • -12.69%
    • 에이다
    • 934
    • -8.7%
    • 이오스
    • 1,216
    • -1.54%
    • 트론
    • 349
    • -0.57%
    • 스텔라루멘
    • 379
    • -6.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430
    • -6.87%
    • 체인링크
    • 18,580
    • -10.33%
    • 샌드박스
    • 382
    • -6.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