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부회장, 부산공장 방문한 이유는?

입력 2019-02-22 13: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르노 그룹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오른쪽)이 21일 르노삼성 부산공장을 방문해 생산 현장의 주요 사항들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 르노삼성자동차
▲르노 그룹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오른쪽)이 21일 르노삼성 부산공장을 방문해 생산 현장의 주요 사항들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 르노삼성자동차

르노그룹의 제조·공급 총괄을 맡고 있는 호세 빈센트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이 21일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방문해 생산 현장을 점검했다. 노조 파업 제지 및 격려를 위해서다.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약 10시간 가량 부산공장에 머물며 생산 현장의 주요 사항들을 살펴봤다.

특히 부산공장 내 조립, 차체, 도장, 파워트레인 등 각 공장의 세부공정 별 현장 책임자와 중간 관리자들과의 간담회를 다섯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르노삼성 2018년 임단협 교섭 지연과 연이은 부분 파업으로 인해 회사가 직면한 상황과 현장 목소리 경청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이번 방문의 목적은 혼란을 겪고 있는 부산공장 임직원들에게 글로벌 시장의 현실과 부산공장의 경쟁력에 대해 직접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른 시일 내 임단협을 마무리하고 부산공장의 미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이해와 협조를 구하고자 한다"라고 당부했다.

이어 "게다가 부산공장은 전체 생산 물량 중 수출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하는 곳으로 수출 물량 확보 여부가 생존과 직결된다"면서 "기존에는 생산비용이 높아도 생산성도 높아 유지될 수 있었지만, 향후 생산비용이 더 올라갈 경우에는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또 "스페인 바야돌리드 공장은 2005년 들어 생산 차종의 판매 부진과 2009년 이후 유럽 및 스페인 경제 위기가 맞물려 1300명의 임직원에 대한 희망 퇴직을 실시하는 등 경영 위기를 겪었다"면서 "당시 직원들도 많은 파업을 진행했지만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으며, 오히려 2009년 3년간 임금 동결을 골자로 하는 노사 합의에서 변화가 시작됐고 2017년에는 25만대가 넘는 생산물량 중 92% 가까운 차량을 수출하는 공장으로 거듭났다"고 설명했다.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의 방문과 격려에도 불구하고, 이날 오후 2시부터 진행된 2018 임단협에 대한 16차 본교섭에서 노사간 구체적인 합의점을 찾지는 못 했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는 22일에도 주간조와 야간조 각각 4시간 부분 파업 진행을 예고했다. 노조의 총 누적 파업 시간은 144시간(38차례)에 달한다.

르노삼성 부산공장 지난해 총 생산량은 21만5680대로 전년 보다 18% 줄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72,000
    • -1.81%
    • 이더리움
    • 2,663,000
    • -4.04%
    • 비트코인 캐시
    • 447,700
    • -1.13%
    • 리플
    • 3,005
    • -4.21%
    • 솔라나
    • 172,300
    • -7.66%
    • 에이다
    • 951
    • -5.37%
    • 이오스
    • 1,182
    • +0.51%
    • 트론
    • 344
    • -3.1%
    • 스텔라루멘
    • 381
    • -4.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710
    • -4.97%
    • 체인링크
    • 18,930
    • -5.44%
    • 샌드박스
    • 380
    • -4.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