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맛·짠맛 등 김치품질표시제 도입된다…소금 원산지 표시 의무화

입력 2019-03-06 13: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농식품부 '김치산업 육성방안' 발표

김치의 매운맛, 짠맛, 김치 맛의 등급과 품질을 표시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이 같은 내용의 '김치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늘어나는 수입 김치에 맞서 국내 김치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세계김치연구소에 따르면 김치 수입량은 2013년 22만218톤에서 2017년 27만5631톤까지 늘어났다. 국산보다 3분의 1 이상 저렴한 가격 때문이다. 김치 시장 점유율은 2017년 기준 국산이 62%, 수입품이 38%가량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국산 김치의 시장 점유율을 2022년까지 7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농식품부는 우선 국산 김치의 품질 관리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김치의 맛과 숙성도를 표시하는 품질표시제를 2020년 도입한다. 품질표시제가 시행되면 김치의 염도와 매운 정도 등이 포장 등에 표시된다. 젓갈, 고춧가루 등 김치 재료의 최소 기준을 정하는 원료 표준화도 추진한다. 업체에 상관 없이 김치의 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다. 농식품부는 소규모 김치 생산 업체가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헤썹)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컨설팅도 지원한다.

안전한 유통을 위해 원산지 표시도 강화된다. 2020년부터는 김치를 담그는 데 쓰였던 소금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된다. 원산지자율표시제도 국산 원재료 사용 비율에 따라 세분된다. 국산 재료만 100% 사용해야 '국내산'으로 표기할 수 있고 국산 재료를 95~100% 사용한 경우에는 '국내제조'로 표기된다.

국산 김치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한다. 김치맛을 높이는 우수 종균(種菌) 보급과 위생적인 포장 소재를 개발하는 게 핵심이다.

농식품부는 판로 확보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학교, 군(軍) 등 대규모 급식 시장과 외국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 입맛에 맞는 '학교급식 김치 표준'을 마련하고 군에는 완제품 형태 납품을 추진한다. 또 외국 시장 개척을 위한 물류비와 마케팅 지원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안정적인 재료 수급과 원가 절감을 위해 김치협회와 산지유통조직 간 협업도 추진한다. 농식품부도 김치 제조 업체가 김치 원료를 공동구매하면 비용 일부를 보조하고 시설 현대화도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개호 농식품부 장관은 "이번에 수립한 ‘김치산업 육성 방안’이 국산 김치의 품질 경쟁력 제고 및 소비 저변을 확대하여 김치 원료 생산농가의 경영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48,000
    • +1.5%
    • 이더리움
    • 2,384,000
    • +4.29%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11.1%
    • 리플
    • 3,112
    • +4.85%
    • 솔라나
    • 191,700
    • +8.55%
    • 에이다
    • 950
    • +3.94%
    • 이오스
    • 979
    • +9.26%
    • 트론
    • 357
    • +1.13%
    • 스텔라루멘
    • 355
    • +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260
    • +3.42%
    • 체인링크
    • 19,090
    • +2.86%
    • 샌드박스
    • 392
    • +2.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