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복강경 간 공여자 200례, 간이식 2000례’ 기념 심포지엄 개최

입력 2019-03-12 09: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복강경 간 공여자 200례, 간이식 2000례’ 기념 심포지엄 개최(삼성서울병원)
▲ ‘복강경 간 공여자 200례, 간이식 2000례’ 기념 심포지엄 개최(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가 대한이식학회와 함께 ‘복강경 간 공여자 200례, 간이식 2000례’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1996년 5월 ‘뇌사자 기증 첫 간이식 수술’을 집도한 이래 2001년 ‘국내 최초 무수혈 간이식수술’과 2002년 ‘국내 최연소 생체 간이식 수술(생후 3개월)’을 성공했다.

2000년100례, 2005년 500례, 2010년 1000례, 2014년 1500례 달성에 이어 2016년 첫 심장·간 동시 이식에 성공하고 2018년 2061례 수술에 이르러 올해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병원 측은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생체 간 공여자의 안전 및 흉터를 최소화하고자 2013년에 ‘공여자 간 복강경 절제술’을 시작했다. 2018년에는 생체 간 공여자 106건 중 89%인 94건 대상으로 복강경 간 절제술을 시행, 현재까지 총 223건의 복강경 간 공여자 절제술을 기록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복강경 간 공여자 절제술을 실시 중이다.

8일 삼성생명 일원동빌딩 9층 히포크라테스홀에서 열린 심포지엄은 그동안의 업적을 기념하며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 질환과 간이식에 대한 최신 연구 지견 및 동향에 대한 전문적이고 심도 있는 강의와 토론의 시간이 마련됐다.

특히 해외초청 연자로 참석한 다니엘 아줄레(Daniel Azoulay) 프랑스 파리 에스트 크레테이유(Paris Est Creteil) 대학 이식외과 교수는 ‘노인 간 이식’에 대해, 토루 이케가미 일본 규슈 대학 이식외과 교수는 ‘우리의 생체간이식 방법이 20년 동안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했나’라는 주제로 발표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조재원 이식외과 교수는 “간질환 치료에 있어 간이식은 최종병기라고 하는데 간이식으로 인해 간암환자가 예후가 많이 향상되었다”며 “특히 간이식 중 간암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0%로 간암환자 생존율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간암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주 앞 대선' 후보들, 1000만 코인러 표심 공략… "갈 길 멀지만 기대감 높아”
  • 변동장 속 IPO 기지개…주목할 기업은
  • 엔비디아·SK하이닉스·대만 업체 한자리에…컴퓨텍스 2025 미리보기 [ET의 칩스토리]
  • 바이오부터 의료AI까지…‘인재 사관학교’가 산업을 움직인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웃는 K방산에 '찬물'?…공정위 시장 구조 들여다본다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전문]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후 피해 발생 시 100% 책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488,000
    • -0.8%
    • 이더리움
    • 2,586,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499,500
    • -2.92%
    • 리플
    • 3,258
    • +2.87%
    • 솔라나
    • 214,000
    • -0.51%
    • 에이다
    • 1,024
    • +0.2%
    • 이오스
    • 967
    • -1.12%
    • 트론
    • 355
    • -2.47%
    • 스텔라루멘
    • 413
    • -1.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50
    • +0.76%
    • 체인링크
    • 21,140
    • -1.58%
    • 샌드박스
    • 428
    • -4.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