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륵’ 강남 노후아파트…서울시 개입선언에 사업성 '뚝'

입력 2019-03-18 15: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재건축 아파트들이 투자 매력을 잃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가 재건축 규제 등 정비사업에 대한 개입 강도를 높이면서 사업성이 예전만큼 기대되지 않기 때문이다.

1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재건축 가능성으로 투자 수요가 높던 서울 노후 아파트들이 가장 큰 폭으로 시세가 떨어지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주택시장 약세가 시작된 지난해 11월 12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연령 20년 이상 서울 아파트 시세는 1.9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평균 1.39% 하락한 것과 비교해 낙폭이 0.5%포인트 큰 수준이다.

‘20년 이상’에 이어 △‘5년 초과~10년 이하’ -1.82% △‘5년 이하’ -1.69% △‘15년 초과~20년 이하’ -1.02% △‘10년 초과~15년 이하’ -0.84% 순으로 낙폭이 컸다.

특히 투자 수요가 많았던 강남 노후 아파트 중심으로 하락폭이 컸다. 동남권(강남ㆍ서초ㆍ송파ㆍ강동) 20년 이상 아파트는 이 기간 3.62% 내려가며 동남권 평균 변동률(-2.64%)보다 1%포인트 큰 낙폭을 보였다.

지난해 상반기에 20년 이상 아파트는 신축 아파트와 함께 서울 상승장을 이끌었다. 전년 동기(2017년 11월 13일~2018년 3월 12일) 20년 이상 아파트는 4.95% 상승했다. 서울 평균(4.23%)을 웃도는 상승률이다. 투자 수요가 쏠렸던 동남권은 20년 이상 아파트가 8.63% 올랐다.

정부가 투자 수요 차단 정책을 펼치자 재건축 아파트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부활한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로 인해 일반분양을 통한 기대 수익이 확 줄어든 상황인 데다 안전진단 통과 문턱을 높여 사업 진행에 차질이 빚어졌다. 아울러 보유세 강화가 이뤄져 소유하는 비용 자체가 늘어난 상태다.

게다가 서울시가 ‘도시ㆍ건축 혁신안’을 발표하며 도시의 미관을 위해 정비사업 전 과정에 개입하기로 하면서 재건축 추진 단지 소유주들의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조합이 조합원들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진행하던 사업에 서울시가 ‘공공성’ 취지로 ‘이래라저래라’ 하면 사업성이나 속도나 모두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서울시가 일반분양 줄이면서 공원이나 광장을 늘리게 하면 조합이 또 반발하면서 갈등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서울 재건축 아파트 수익률은 부동산 시장의 바로미터”라며 “수익률 기준으로 서울 재건축 아파트 고점은 지난해 4월이라서 통상 25~35개월간 둔화하는 사이클상으로 2020년 5월 또는 2021년 3월까지 수익률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나솔사계' 10기 영식, 딸과 전화 통화 후 눈물…"인기도 없고 욕도 먹을 것, 참 어려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2:5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600,000
    • +1.12%
    • 이더리움
    • 2,538,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0.96%
    • 리플
    • 3,146
    • +0.67%
    • 솔라나
    • 218,800
    • +3.01%
    • 에이다
    • 1,028
    • +5.01%
    • 이오스
    • 967
    • +5.11%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98
    • +5.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580
    • +9.28%
    • 체인링크
    • 21,580
    • +3.15%
    • 샌드박스
    • 431
    • +3.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