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양배추 수입보장보험에 가입한 농지 면적은 81㏊로 가입 대상 지역(3173㏊)의 2.2%에 불과하다. 양파 수입보장보험도 가입 대상 지역(6013㏊) 중 3.5%(212㏊)만 가입했다. 이처럼 가입률이 저조한 것은 예산 부족 때문이다. 보험료의 절반을 정부가 보조해 주는데, 이 보조금 예산 한도 때문에 가입을 원하는 농가 수요를 받아줄 수 없는 형편이다. 일부 품목은 선착순으로 보험 가입을 받아도 하루 만에 예산이 동났다. 이 보험이 감당하지 못하는 과잉공급 물량은 결국 산지 폐기나 정부 수매 등 과거처럼 정부 지원에 의존해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양배추와 양파는 올해 가격이 급락한 대표적 작물이다. 평년보다 값이 각각 27.9%, 19.2%나 떨어졌지만 이 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농민들은 보상을 받을 수 없다.
김수일 농림축산식품부 재해보험정책과장은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기재부와 협의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원호 부산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보험료 조정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예산 부담을 늘리지 않아도 농업수입보장보험을 정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