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LG화학 사장 “파우치 필름 국산화, 국내 제조사와 협력”

입력 2019-08-28 14: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명환 LG화학 사장이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KABC 2019'에서 강연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명환 LG화학 사장이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KABC 2019'에서 강연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명환 LG화학 사장(배터리연구소장)이 “일본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파우치 필름 국산화를 위해 국내 제조사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ABC(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 2019' 콘퍼런스에 참석해 "현재 파우치 필름 대부분을 일본DNP, 쇼와덴코(昭和電工) 등에 의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파우치 필름은 파우치 배터리 외부를 감싸 내용물을 보호하는 핵심 제품이다. 이 제품은 일본DNP와 쇼와덴코가 세계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역시 대부분의 파우치 필름을 이들 양사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향후 일본 정부가 한국을 백색 국가에서 제외하고 추가 보복을 가하게 될 경우, 일본산 파우치 필름을 사용하는 국내 배터리 산업이 피해를 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사장은 “일본 DNP와 쇼와덴코 등에 의존하고 있는 것은 맞고, 이들 회사가 CP 기업(자율준수규정 인증)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수입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일본 정부가 언제든 마음먹은 대로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에 수출하고 있는 율촌화학 파우치 필름 테스트도 했다"고 확인하면서 "율촌화학이 아직 품질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지만, 앞으로 국내 회사와 협력하면서 같이 국산화를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S의 공포’ 촉발...글로벌 시장, 팬데믹급 충격 휘말려
  • 내수한파 방어할 새 경제수장 누구…전 장·차관 출신들 거론
  • 반도체 훈풍 속 입주 시작한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가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금융권 AI 활용…어디까지 왔을까요?
  • 'CFE' 지고 'RE100' 집중?…'백년지대계' 에너지 정책 운명은?
  • 尹 파면 격분해 곤봉으로 경찰버스 파손한 20대 남성, 구속 기로
  • ‘이강인 결장’ PSG, 프랑스 리그1 4시즌 연속 우승 성공…트레블 도전 ‘청신호’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201,000
    • -2.77%
    • 이더리움
    • 2,431,000
    • -7.88%
    • 비트코인 캐시
    • 413,100
    • -6.98%
    • 리플
    • 2,987
    • -4.78%
    • 솔라나
    • 161,800
    • -7.91%
    • 에이다
    • 880
    • -8.05%
    • 이오스
    • 1,156
    • +3.21%
    • 트론
    • 350
    • -0.57%
    • 스텔라루멘
    • 360
    • -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800
    • -9.87%
    • 체인링크
    • 17,360
    • -7.17%
    • 샌드박스
    • 355
    • -7.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