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LCD라인 구조조정 효과 기대 ‘매수’-하이투자

입력 2019-09-17 07: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이투자증권은 17일 LG디스플레이에 대해 LCD 라인 구조 조정은 긍정적 이슈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1000원을 유지했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파악한 바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올 4분기부터 연말에 걸쳐 8세대 140K/월, 7세대 105K/월 규모의 LCD 캐파(Capa)를 점진적으로 가동 중단할 계획”이라며 “이와 함께 이달부터 경영 악화에 따른 비용 절감 및 고통 분담 차원의 희망퇴직을 시행할 예정이며 목표 미달 시 추가 구조조정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수익성을 중심으로 한 OLED TV 업체로의 본격적인 변화를 위해 대규모 LCD 캐파 가동 중단을 결정한 만큼 비용 축소를 위한 인력 구조 변화는 필요하다”면서도 “현재 예상되는 인력 구조 조정 규모는 가동 중단 캐파가 전체의 약 20~25% 비중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4000억~5000억 원가량의 비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하반기에 일회성 비용으로 인한 대규모 영업 적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그러나 오히려 수익성을 중심으로 한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주가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며 “최근 동사의 전환사채 발행은 실질적으로 LCD 캐파 가동 중단 및 구조조정 비용을 위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인 자금 조달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그는 “LG디스플레이 LCD 가동 중단 결정 시 LCD 업황 빠르게 개선될 수 있다”며 “7, 8세대 LCD 캐파 가동 중단 결정으로 일부 시장에서 외형 축소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나 LCD TV 패널 가격 안정세와 가파른 OLED TV 출하량 증가로 전체 매출액은 오히려 전년 대비 약 1조 원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현 주가는 내년 실적 기준 P/B 0.44배 수준으로 이미 최악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어 적극적인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내년 중대형 LCD 수급 개선세가 나타나 영업이익이 약 4340억 원으로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돼 현 주가에서의 상승 여력은 30~40%에 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두 번째 대면한 정용진…3배 실적 점프에 ‘글로벌 영향력’ 확대
  • 팬심도 쌓고 자산도 쌓고…최애 ‘덕질통장’으로 즐겁게 저금해볼까 [경제한줌]
  • '아아'의 계절이 온다…2025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 비교 "가장 싼 곳은?" [그래픽 스토리]
  • 대학 축제 라인업, 집착(?)의 이유는 [이슈크래커]
  • 단독 대선 앞두고...동서식품, 6개월 만에 또 ‘가격 인상’
  • 김용태 비대위원장, 尹 전 대통령에 탈당 권고…"대선 승리 위해 결단해달라"
  • 유권자 10명 중 8명 “이번 대선 반드시 투표하겠다”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43,000
    • -0.04%
    • 이더리움
    • 3,582,000
    • -2.53%
    • 비트코인 캐시
    • 559,500
    • -2.01%
    • 리플
    • 3,425
    • -5.18%
    • 솔라나
    • 238,800
    • -4.59%
    • 에이다
    • 1,082
    • -4.25%
    • 이오스
    • 1,101
    • -2.13%
    • 트론
    • 386
    • -1.03%
    • 스텔라루멘
    • 414
    • -3.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700
    • -5.48%
    • 체인링크
    • 22,610
    • -5.71%
    • 샌드박스
    • 454
    • -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