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약품,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국내 임상2상 개시

입력 2019-10-10 13: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 상장사 제일약품이 자체개발 중인 차세대 위식도 역류질환 질병 치료제(JP-1366)가 국내 임상2상에 본격 착수했다.

제일약품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JP-1366의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를 위한 제2상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 연세대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을 포함한 20개 임상 기관에서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본격 임상에 돌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제일약품의 JP-1366은 2017년 보건복지부의 첨단의료기술개발 신약개발지원 과제로 선정돼 20여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개발에 착수했다.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P-CAB) 기전으로 개발 중인 JP-1366은 지난해 완료한 임상 1상에서는 약물의 경구 투여 후 안전성, 내약성, 약동약력학적 특성 등에서 신속한 약효 및 뛰어난 지속성을 입증하며 기존의 프로톤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이하 PPI) 기전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신약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최근 위식도 질환 시장 내 가장 널리 쓰이던 치료제인 ‘라니티딘’이 발암 물질 우려로 판매 금지 처분 상태에 처하면서, 현재 대체재로 사용되는 PPI 기전 치료제는 느린 약효 발현과 야간 산 분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탓이다.

회사 측은 내년까지 국내 임상2상 완료를 목표로, 유럽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임상1상도 함께해가며 기술 수출 등 다양한 사업 가능성을 고려해 가겠다는 방침이다.

제일약품 관계자는 “오늘날 다수 제약사가 임상시험을 통해 P-CAB 기전이 기존 PPI보다 간편하면서도 효능이 우수하다는 점을 검증하고 있다”며 “앞선 비임상에서부터 신약후보 물질로서의 높은 가능성을 보인 JP-1366은, 현재 제일약품이 개발 중인 뇌졸중 치료제(JPI-289), 표적항암제(JPI-547) 등과 함께 또 하나의 블록버스터급 신약 후보 물질로 자리잡았다”고 기대했다.

한편,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위식도 역류질환의 국내 시장 규모는 약 1000억 원 규모로, 전 세계 시장 규모는 25조 원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27,000
    • +0.41%
    • 이더리움
    • 2,535,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504,500
    • -1.37%
    • 리플
    • 3,167
    • +0.09%
    • 솔라나
    • 217,800
    • +1.68%
    • 에이다
    • 1,043
    • +4.4%
    • 이오스
    • 978
    • +2.84%
    • 트론
    • 356
    • +1.42%
    • 스텔라루멘
    • 400
    • +4.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60
    • +0.62%
    • 체인링크
    • 21,430
    • +0.99%
    • 샌드박스
    • 428
    • +1.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