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내 인생이 비극인 줄 알았는데, 코미디였어”라고 읊조린다. 각본가는 채플린의 명언 “인생은 가까이 보면 비극이요 멀리서 보면 희극”에서 이 대사의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조커에겐 모든 게 부조리해 보였다. 친모라고 생각했던 어머니와 고담시의 잘나가는 부자인 토마스 웨인이 아버지라고 믿고 싶었던 망상이 무참히 깨어진다. 냉혹한 현실 앞에서 그의 자아는 무너지고 만다.

‘조커’의 감독인 토드 필립스는 어느 인터뷰에서 영화를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우리 사회의 공감능력 부족’이라 했다. 음울하고 지저분한 고담시는 이해와 배려의 정신이 실종된 공간이며 철저히 이기적으로 파편화된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문득 꼭 고담시만의 이야기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풍경을 보면 이제 평범한 누구라도 ‘아서’가 ‘조커’가 되기는 그리 어렵지 않아 보인다. 요즘 한창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는(물론 조국대전만큼은 아니지만) 화성 연쇄살인 사건의 진범인 이춘재가 조커와 오버랩된다. 이춘재는 어떻게 그런 악마가 됐을까? 영화를 보고 나니 더욱 궁금해진다.박준영 크로스컬처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