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수입차 판매 2만5514대…일본차 미세한 회복

입력 2019-12-04 11: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메르세데스-벤츠 6779대로 1위, 폭스바겐ㆍ아우디 모델별 1~3위 석권

▲폭스바겐 티구안 2.0 TDI가 11월 수입차시장 베스트셀링 모델에 올랐다. 일본차 판매는 전년 대비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사진제공=폭스바겐코리아)
▲폭스바겐 티구안 2.0 TDI가 11월 수입차시장 베스트셀링 모델에 올랐다. 일본차 판매는 전년 대비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사진제공=폭스바겐코리아)

11월 수입차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4.0% 증가한 2만5514대에 달했다. 대대적인 할인공세에 힘입어 일본차 판매는 10월(전년 판매 대비)보다 회복세를 보였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는 지난달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가 10월(2만2101대)보다 15.4% 증가한 2만5514대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수치는 지난해 11월(2만2387대)보다 14.0% 증가한 규모다.

일본차 판매는 불매운동이 본격화된 8월(1398대)에 전년 대비 -56.9%로 감소 폭이 컸고 9월(1103대) -59.8%로 정점을 찍었다. 이어 10월(1977대) -58.4%를 기록했지만 11월에는 -56.4%를 나타냈다.

2019년 11월까지 누적 대수 21만4708대는 전년 동기 누적(24만255대)보다 10.6% 감소했다.

11월 브랜드별 등록 대수는 △메르세데스-벤츠 6779대 △BMW 4678대 △아우디 2655대 △폭스바겐 2024대 △쉐보레 1783대 △지프(Jeep) 1160대 △볼보 891대 △포드 817대 △토요타 780대 △미니(MINI) 658대 순이었다.

11월 베스트셀링 모델은 폭스바겐 티구안 2.0 TDI(1640대)가 차지했고, 이어 아우디 Q7 45 TFSI 콰트로(1150대), 아우디 A6 45 TFSI 콰트로(1008대) 순이었다.

판매재개에 나선 폭스바겐과 아우디가 베스트셀링 1~3위를 차지하며 본격적인 회복세를 나타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윤대성 부회장은 “11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은 일부 브랜드의 신차효과와 신규 브랜드 추가 등에 힘입어 전월보다 증가했다”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2: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112,000
    • -0.9%
    • 이더리움
    • 3,449,000
    • -2.16%
    • 비트코인 캐시
    • 563,000
    • -1.4%
    • 리플
    • 3,474
    • +4.04%
    • 솔라나
    • 239,400
    • -1.48%
    • 에이다
    • 1,114
    • -1.68%
    • 이오스
    • 1,207
    • -6.65%
    • 트론
    • 373
    • +0%
    • 스텔라루멘
    • 426
    • -2.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950
    • -5.5%
    • 체인링크
    • 23,090
    • -3.19%
    • 샌드박스
    • 485
    • -3.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