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고객 안내부터 설거지까지…LG전자, '클로이 다이닝 솔루션' 공개

입력 2019-12-16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달 CES 2020서 선보여…레스토랑 운영 관리 위한 로봇 서비스 제안

▲LG전자와 CJ푸드빌이 패밀리레스토랑 '빕스' 등촌점에 도입한 ‘LG 클로이 셰프봇’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와 CJ푸드빌이 패밀리레스토랑 '빕스' 등촌점에 도입한 ‘LG 클로이 셰프봇’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는 내달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소비자가전박람회 ‘CES 2020’에서 ‘LG 클로이 다이닝 솔루션’을 공개한다고 16일 밝혔다.

LG 클로이 다이닝 솔루션은 레스토랑에서 접객, 주문, 음식조리, 서빙, 설거지 등 로봇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영역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안내로봇은 고객이 레스토랑에 들어오면 예약을 확인하고 자리까지 직접 안내한다. 또 화면을 통해 진행 중인 프로모션 등도 알려준다.

고객들은 식탁에서 테이블로봇을 통해 주문하고 결제할 수 있다. 아울러 고객들은 클로이를 통해 메뉴를 확인하고 모바일 결제 서비스 LG페이 등을 활용해 결제할 수 있다.

셰프봇은 고객이 주문한 요리를 조리한다. LG전자는 셰프봇이 실제 요리사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모션제어 기술 등을 적용했다.

주문한 요리가 나오면 서빙로봇은 고객의 테이블까지 안전하게 전달한다. 서빙로봇은 지능형 자율주행 기능으로 고객의 테이블까지 최적의 경로를 판단한다.

고객이 식사를 마치면 직원들은 빈 그릇을 지능형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퇴식로봇에 올려두기만 하면 된다.

퇴식로봇이 빈 그릇을 세척로봇에게 가져가면 세척로봇이 설거지를 시작한다. 식사를 마친 고객은 바리스타로봇이 내린 커피를 즐길 수 있다.

LG전자는 로봇뿐만 아니라 사업장의 자료를 수집해 클라우드를 통해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솔루션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데이터 솔루션을 활용하면 재방문 고객을 인식해 선호하는 메뉴나 좌석을 안내할 수 있는 고객 중심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 노진서 전무는 “레스토랑에 클로이 로봇을 도입하면 힘들고 위험하거나 반복적인 일은 로봇에 맡기고, 직원들은 고객에게 다가가 새로운 경험과 더욱 존중받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토허제' 강남 3구·용산구 집값 묶였지만 목동·여의도는 '들썩' [토허제 재지정 한달①]
  • '관세전쟁 선방' 삼성ㆍSK, 2분기가 걱정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알테쉬, 초저가 무기로 공급…유통업계 타격 불가피[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中)]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빈자의 교황’ 프란치스코, 88세 일기로 선종…포용·섬김의 리더십으로 사랑받아
  • “지지 후보 없다” 결국 이재명 선택?…AI “10중 6명 흡수”
  • C1의 '불꽃야구' 오늘(22일) 고척돔 첫 직관 티켓팅…예매처ㆍ예매 시간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14: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776,000
    • +1.15%
    • 이더리움
    • 2,272,000
    • -3.4%
    • 비트코인 캐시
    • 494,700
    • +1.52%
    • 리플
    • 2,994
    • -1.42%
    • 솔라나
    • 199,900
    • -1.14%
    • 에이다
    • 895
    • -2.72%
    • 이오스
    • 916
    • -1.61%
    • 트론
    • 356
    • +1.71%
    • 스텔라루멘
    • 354
    • -1.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70
    • -0.36%
    • 체인링크
    • 18,770
    • -3.5%
    • 샌드박스
    • 391
    • -2.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