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노동당 전원회의, 오늘(31일)도 이어질 듯…김정은 "공세적 정치외교·군사적 대응조치 보고"

입력 2019-12-31 0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3일간 노동당 전원회의를 열고 자주권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공세적인' 정치·외교·군사적 대응조치를 논의했다.

조선중앙통신은 31일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전원회의 3일 회의가 12월 30일 계속됐다"며 "조선노동당 위원장 김정은 동지께서는 1일 회의와 2일 회의에 이어 보고를 계속하셨다"고 전했다.

중앙통신은 "전원회의는 계속된다"고 밝혀 북한은 31일에도 전원회의를 진행할 예정임을 밝혔다.

특히 중앙통신은 "조선노동당 위원장 동지께서는 전원회의에서 7시간이라는 오랜 시간에 걸쳐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사업정형과 국가 건설, 경제 발전, 무력 건설과 관련한 종합적인 보고를 하셨다"고 덧붙였다.

대외 부문과 관련해 "나라의 자주권과 안전을 철저히 보장하기 위한 적극적이며 공세적인 정치외교 및 군사적 대응조치들을 준비할 데 대해" 보고했다. 다만 통신은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김정은 위원장은 경제사업체계와 질서 정돈, 인민경제 주요공업부문들의 과업, 농업생산 확대, 과학·교육·보건사업 개선, 증산절약과 질 제고 운동, 생태환경 보호와 자연재해방지대책, 반사회주의·비사회주의와 투쟁 강화, 근로단체사업 강화, 전사회적 도덕기강 수립, 당과 당의 영도력 강화, 간부의 역할 제고 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아울러 그는 "혁명의 최후승리를 위하여, 위대한 우리 인민을 잘살게 하기 위하여 우리 당은 또다시 간고하고도 장구한 투쟁을 결심했다"며 "사회주의강국건설의 포부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승리의 진격로를 힘차게 열어나갈 것"을 호소했다.

한편 28일부터 사흘째 중앙당 전원회의를 진행한 북한은 31일 나흘째 회의에서는 결정서를 작성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당 전원회의가 이틀 이상 개최된 것은 김일성 주석 시대 이후 처음이다.

전원회의에서 논의된 결과는 내년 1월 1일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에 반영돼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총 90% 증발한 만트라 코인…'먹튀'냐 '조정'이냐 대혼돈
  • 오세훈·유승민 지지표 한동훈으로...尹, 홍준표 지지시 요동[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치솟은 美국채 금리에 채권개미 ‘엑소더스’
  • '최강야구'에서 '불꽃야구' 준비 마친 박용택…새 장비 스포됐다
  • ‘관세 리스크’ 악재인가 반사이익인가…셈법 복잡한 HMM
  • 아무도 안온다… 엑시트만 남은 10년의 민낯 [脫 한국, 실패한 리쇼어링①]
  • 눈 뜨면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롤러코스터 타는 기업들 '패닉'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11: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00,000
    • -0.48%
    • 이더리움
    • 2,347,000
    • -1.88%
    • 비트코인 캐시
    • 467,500
    • -10.95%
    • 리플
    • 3,077
    • -2.04%
    • 솔라나
    • 186,400
    • -4.8%
    • 에이다
    • 918
    • -3.06%
    • 이오스
    • 887
    • -3.06%
    • 트론
    • 364
    • -2.15%
    • 스텔라루멘
    • 347
    • -1.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00
    • -3.49%
    • 체인링크
    • 18,240
    • -3.75%
    • 샌드박스
    • 370
    • -4.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