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0월 26일 밤, 서울 종로구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에서 권력의 핵심인 중앙정보부장(이병헌)이 대통령(이성민)을 시해한다. 이 기막힌 현대사의 비극이 영화로 안 만들어지면 이상한 일이다. 사실 이 소재는 이전에도 영화로 제작되어 개봉된 적이 있다. 임상수 감독의 영화 ‘그때 그사람들’은 10·26을 블랙코미디로 담아냈다. 그러나 ‘내부자’를 만들었던 우민호 감독은 이번에는 철저히 사실을 바탕에 둔 다큐적 연출 형식으로 당시의 비극을 보여준다. 대통령이 죽기 40일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카메라는 박통과 남산의 부장들, 그리고 경호실장(이희준)이 서로 얽히면서 이용하고 이용당하는 관계를 사실적 기법으로 담담하게 따라간다.
처음에는 충성경쟁으로 시작했다가 이후에는 권력소외에 따른 모멸감에 몸서리치다가 결국 최고 권력을 거세하고 그 자리에 오르고자 했던 김규평(김재규)에게 관객들이 감정이입을 하도록 영화는 시종일관 도와준다. 등장 배우들도 실제 인물에 최대한 맞췄다. 이성민은 박정희와 비슷한 외모를 보여주기 위해 귀를 닮게 분장했다. 남산의 실력자로 나오는 김규평과 박용각(곽도원)은 김재규와 김형욱의 캐릭터를 연기에 잘 녹여냈다. 대통령 경호실장으로 당시 호가호위했던 차지철이 곽상천(이희준)으로 나오는데 배우는 25㎏을 증량했다고 한다. 당시 면면을 기억하는 분들은 상당히 흡사하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조금 아쉬운 점은 이병헌의 모습에서 김재규의 외모를 떠오르긴 쉽지 않았다는 정도.
영화 제목은 ‘남산의 부장들’이지만 실제로는 김재규가 왜 박정희를 쏠 수밖에 없었나를 주된 뼈대로 삼았다. 5·16 혁명(?)에 대한 배신으로? 충성경쟁에서 밀린 보복으로? 아니면 김재규가 최후진술에서 또렷한 목소리로 주장했던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서? 이 답은 관객들이 영화를 보면서 스스로 찾아야 할 듯하다. 다만 독재자를 죽이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김재규의 항변도 되새겨볼 여유가 생겼다는 점은 대단히 고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