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 ‘우한 폐렴’ 억제 노력…시진핑에 감사”

입력 2020-01-25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오사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오사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인 '우한 폐렴' 확산을 막기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을 평가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감사를 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중국은 코로나바이러스를 억제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해왔다"며 "미국은 그들의 노력과 투명성에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잘 해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민을 대신해서 시진핑 주석에게 감사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이날 '우한 폐렴'으로 진단된 두 번째 환자가 발생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날 시카고에 거주하는 60세 여성이 우한을 여행하고 돌아온 후 우한 폐렴의 원인인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진단됐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첫 우한 폐렴 감염자가 발생한 22일 당시 상황과 관련해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며 미국 내 전염 가능성을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은 계획을 갖고 있고, 매우 잘 대처할 것"이라며 중국도 잘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트위터 언급은 "중국 정부의 투명성에 관해 여전히 우려가 있다"는 국무부 고위 당국자의 브리핑 내용과는 온도 차가 있어 주목된다.

중국 정부는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처럼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우한 폐렴'과 전쟁을 선포한 상태이다. 우한 폐렴 확산 우려로 중국에서 연중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설) 행사가 줄줄이 취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음력 설을 맞아 이를 기념하는 축하 메시지를 발표하기도 했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16일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97,000
    • -0.25%
    • 이더리움
    • 2,326,000
    • -1.86%
    • 비트코인 캐시
    • 471,900
    • +0.38%
    • 리플
    • 3,076
    • -1.09%
    • 솔라나
    • 186,300
    • -1.22%
    • 에이다
    • 901
    • -2.07%
    • 이오스
    • 858
    • -4.35%
    • 트론
    • 366
    • +0.27%
    • 스텔라루멘
    • 347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190
    • -1.74%
    • 체인링크
    • 18,000
    • -2.96%
    • 샌드박스
    • 362
    • -3.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