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中企 청년 직원 21% 만기금 받고 퇴사

입력 2020-02-23 09: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80% 같은 사업장서 계속 근무…"청년내일채움공제, 근속 유지 효과 어느 정도 있어"

▲취업박람회에 참여한 구직자들이 채용 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KB국민은행)
▲취업박람회에 참여한 구직자들이 채용 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KB국민은행)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 근로자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해 만기금을 받은 사람들 중 약 21%는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 리뷰’ 2월호에 실린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을 시작한 2016년 7월 이후 청년내일채움공제 2년형에 가입해 만기금을 받은 청년 근로자는 지난해 7월까지 1만5677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후에도 같은 사업장에서 근무 중인 사람은 1만2399명(79.1%)이었다. 나머지 3278명(20.9%)은 퇴사했으며 이 중 미취업 상태인 사람은 1955명이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수년 동안 근무하며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기업과 정부가 돈을 일부 지원해 목돈을 마련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데 목적을 둔다.

2년 동안 300만 원을 적립해 1600만 원을 받는 2년형과 3년 동안 600만 원을 적립해 3000만 원을 받는 3년형으로 나뉜다.

보고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자의 약 80%가 근속을 유지한 데 대해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근속 유지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아직 최초 만기 발생 시점이 도래한 이후 긴 시간이 흐르지 않은 만큼 만기 이후 이직 비중은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금을 받고 재취업한 사람(1323명) 중 월급을 더 많이 주는 사업장으로 간 사람은 1165명(88.1%)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원래 취지인 중소·중견기업 근속 유지를 넘어 숙련 형성 등을 통해 원활한 노동시장 흐름에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성을 위해 근속 유지 비중을 일정 부분 유지할 필요가 있는 만큼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이후 근속 유지를 위해 기업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90,000
    • +1.08%
    • 이더리움
    • 3,270,000
    • +12.26%
    • 비트코인 캐시
    • 572,000
    • -2.56%
    • 리플
    • 3,298
    • +4.17%
    • 솔라나
    • 240,300
    • +6.71%
    • 에이다
    • 1,097
    • +5.89%
    • 이오스
    • 1,194
    • +0.51%
    • 트론
    • 366
    • +1.67%
    • 스텔라루멘
    • 415
    • +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00
    • +2.51%
    • 체인링크
    • 22,360
    • +3.47%
    • 샌드박스
    • 463
    • +7.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