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가장 큰 원인은 중국서 들어온 한국인”…3차례 강조

입력 2020-02-26 17: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특정 종교집단서 확산"…"방역당국, 정치적 의사결정 없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에 대해 "가장 큰 원인은 중국에서 들어온 한국인이었다. 애초부터 중국에서 들어온 우리 한국인이라는 뜻"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정갑윤 미래통합당 의원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중국에서 온 한국인이 최대 원인' 이란 발언을 3차례 반복했다.

박 장관은 "출입국 통제는 질병관리본부의 요구대로 한 것이다. 원인은 중국에서 들어온 우리 한국인들이라고 말씀드리겠다"면서 "그분들을 모두 격리 수용할 수 없다. 하루 2000명을 어떻게 다 격리 수용하나"라고 답했다.

이어 "이 바이러스의 특성 자체가 검역에서 걸러지지 않는 사람이 들어오기 때문이다. 열도 기침도 없는 한국인이 중국에서 감염원을 가져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지금 많은 환자가 확진된 것에 대해서는 죄송스럽다"며 "그러나 아무 대책이 없던 것은 아니고, 특정 종교 집단에서 그것이 확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장관이 언급한 특정 종교는 신천지예수교회(신천지)를 지칭한다.

그러면서 박 장관은 "방역당국은 어느 한순간도 마음을 놓거나 긴장을 풀지 않았다"며 "방역당국이 하는 일들은 정치적 의사결정으로 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의 발언은 중국인 입국을 금지하지 않는데 중국과의 외교적 관계등의 고려가 없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박 장관은 "저희는 객관적 사실을 기초로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박 장관은 "특정집단의 최초 발현자가 누구인지 밝혀내고자 굉장히 노력하고 있다"며 "감염원이 어디서 왔는지 밝혀내는, 좀 더 정확한 방역대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법사위 여야 의원들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통합당 간사인 김도읍 의원은 "국내 요인이라는 박 장관의 발언에 국민들이 분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법사위 간사인 송기헌 의원도 박 장관을 향해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해 정부가 어떤 결정을 하고 그런 건 다 합리적인 판단을 했을 테지만, 국민들의 솔직한 우려도 진지하게 생각해주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박 장관은 "중국에 갔다 온 한국인들이 그 병원균을 가져올 수도 있고, 중국에서 직접 올 수도 있는데, 31번 확진자 전까지 보면 그 비율은 내국인이 더 많아서 그렇게 말씀드린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65,000
    • +2.15%
    • 이더리움
    • 2,582,000
    • +2.14%
    • 비트코인 캐시
    • 546,500
    • +9.32%
    • 리플
    • 3,177
    • +1.92%
    • 솔라나
    • 223,300
    • +4.64%
    • 에이다
    • 1,044
    • +5.03%
    • 이오스
    • 978
    • +5.27%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411
    • +7.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200
    • +27.25%
    • 체인링크
    • 21,860
    • +5.05%
    • 샌드박스
    • 445
    • +6.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