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수용성 및 지용성 약제를 개발함과 동시에 동물실험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한 항진균 조성물은 김준 교수와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중견연구비를 지난 수년간 지원받아 하엘 연구진과 함께 개발에 성공해 특허등록을 마쳤다.
김준 교수는 “30년 이상 진균 및 항진균제 연구 개발에 매진해 왔다. 특히 항진균제는 독성 및 저항성등의 문제로 개발이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특허는 그 점들을 극복한 항진균제 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진균감염병 중 치사율 1위이며 건강한 여성에게도 질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진균제 상용화에 한 발자국 더 가까워졌다. 각종 항진균제 개발은 물론 빠른 시일 내 화장품, 비듬샴푸, 생활용품 등 상품 개발에도 적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연구팀은 올해 AI(인공지능)와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범용 진균제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김 교수는 "기존 항진균제들의 부작용으로 지목되던 신장 독성, 간 독성 등 부작용이 낮고 향후 AI 및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더욱 더 향상된 제품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뉴스
지난 30년간 미생물 진균 연구개발에 매진해온 고려대 김준 교수는 하엘 대표를 맡고 있으며, 국내 미생물학 분야의 가장 전통 있고 대표적인 학술단체인 한국미생물학회로부터 진균연구로 학술대상을 수상한 바 있고, 한국미생물학회 회장과 한국미생물학회연합의 회장을 역임한 이 분야의 전문가다.
하엘은 대장암 마커, 항암제 및 피부세포 손상 복구 등에 대한 특허 및 논문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국가인증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상장을 위한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올해 기업기술평가에 들어갈 계획이다.
현재 글로벌 항진균제 시장은 연간 15조원(약 130억달러)이 넘었고, 국내 항진균제 시장도 약 1500억원 규모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