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과 한국해양대학교 장태수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이어도 주변 해역의 해저 퇴적물 조사에서 발견된 암석조각(45×35×10cm)을 분석한 결과 이어도가 과거 화산폭발로 생겨난 화산체임이 밝혀졌다고 28일 밝혔다.
수심 약 56m에서 채취된 이 암석조각은 화산분출물이 쌓여서 굳어진 응회암으로 층리 구조와 조개류가 서식한 흔적으로 추정되는 다수의 구멍들(borings)을 가지고 있었다. 응회암에 나타난 층리 구조는 화산이 분출될 때 화산재 등이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층으로 이어도가 화산기원 암석층임을 보여준다.
또 암석 표면에 있는 지름 10mm 내외의 구멍들과 그 구멍을 만든 조개류 껍데기, 산호초는 화산체 일부가 파식대지라는 것을 알려준다. 파식대지는 파도에 의한 침식작용 등으로 해안가에 생긴 평탄한 지형으로 충남 태안군 꽃지해수욕장 아래 둔두리 파식대지에서 작은 구멍과 그 속에 서식하고 있는 조개류를 볼 수 있다.
해양조사원과 연구팀은 이어도가 과거 해수면이 낮아졌던 시기에 대기에 노출됐다가 다시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해저 화산체로 남게 됐다고 설명했다. 응회암은 현재 해양조사원 별관에 전시되고 있다.
관련 뉴스
이은일 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장은 “앞으로는 이어도와 제주도 간 지질학적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도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