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ICT R&D 혁신 바우처' 사업에 118억 지원

입력 2020-05-07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ICT R&D 혁신 바우처 우수사례 (과기정통부 제공)
▲ICT R&D 혁신 바우처 우수사례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벤처중소중견기업의 신속한 ICT(정보통신기술) 확보 및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20년 ICT R&D 혁신 바우처 지원 사업'에 31개 신규과제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0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총 3224억 원(국고 2320억 원) 규모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마쳤으며, 올해 첫 사업으로 118억 원을 투입하여 ㈜튠잇의 '능동형 인공지능(AI) 차량관리서비스', ㈜엘컴텍의 '무인 검사 비행체 충돌 예측 기술' 등 31개 과제를 지원한다.

기술분야별로 올해 선정과제를 분류하면 소프트웨어·인공지능 분야 9개(29%), 사물인터넷 분야 11개(35.5%), 웨어러블·디바이스 분야 4개(12.9%), 통신·전파 분야 4개(12.9%), 보안 및 기타 분야 3개(9.7%)다.

특히 올해는 5세대(5G) 이동통신 초저지연 및 초연결 환경 구축에 필요한 부품이나 인공지능ㆍ빅데이터 등 ICT 핵심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융합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제들이 눈에 띈다.

엠에프씨㈜ ‘빅데이터 기반 고형체 및 약제 개발 시스템 연구’는 순천향대를 통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최적의 약물 혼합률 분석 모델 및 2종의 역류성 식도염 치료를 위한 개량신약을 개발할 예정이다.

㈜파이버프로의 ‘테라비트급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광변조기 개발 과제’는 5세대(5G) 이동통신에서 폭발적인 데이터 증가에 맞춰 처리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10Ghz→50Ghz)한 초소형 광변조기를 개발해 해외 수입 부품(고사양 광변조기)의 국산화를 꾀할 예정이다.

또한 최근 코로나19로 부각되고 있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활용한 원격 차량관리, 동물 진단 등 비대면 서비스 과제도 적극 발굴한다. ㈜이노그리드의 '인공지능 기반 수의 영상 의료 정보 판독 소프트웨어 개발 과제'가 대표적이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ICT R&D 바우처는 기업에게 예산 대신 맞춤형 기술을 제공하고 연구개발 주도권을 부여함으로써 예산 부정사용을 방지하고 ICT를 통해 혁신도약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중소벤처기업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활동이 위축되지 않고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총 90% 증발한 만트라 코인…'먹튀'냐 '조정'이냐 대혼돈
  • 오세훈·유승민 지지표 한동훈으로...尹, 홍준표 지지시 요동[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치솟은 美국채 금리에 채권개미 ‘엑소더스’
  • '최강야구'에서 '불꽃야구' 준비 마친 박용택…새 장비 스포됐다
  • ‘관세 리스크’ 악재인가 반사이익인가…셈법 복잡한 HMM
  • 아무도 안온다… 엑시트만 남은 10년의 민낯 [脫 한국, 실패한 리쇼어링①]
  • 눈 뜨면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롤러코스터 타는 기업들 '패닉'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50,000
    • +0.92%
    • 이더리움
    • 2,372,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480,300
    • -3.24%
    • 리플
    • 3,099
    • +0.32%
    • 솔라나
    • 190,100
    • -1.09%
    • 에이다
    • 927
    • -0.43%
    • 이오스
    • 888
    • -1.44%
    • 트론
    • 365
    • -1.88%
    • 스텔라루멘
    • 348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00
    • -0.85%
    • 체인링크
    • 18,340
    • -0.43%
    • 샌드박스
    • 370
    • -4.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