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코디엠, 경남바이오파마로 M&A 가능성 부각 ‘강세’

입력 2020-05-14 09: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디엠이 강남바이오파마로 인수합병(M&A) 가능성 부각 소식에 강세다.

14일 오전 9시 11분 현재 코디엠은 전일 대비 34원(9.69%) 오른 385원에 거래 중이다.

전일 한 경제매체에 따르면 경남바이오파마가 코디엠의 경영권 인수를 저울질하고 있다. 경남바이오파마 M&A로 제약바이오 분야로 확장을 꾀해온 김병진 라이브플렉스 회장이 또 한차례 인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코디엠이 신규 동력으로 삼고 있는 바이오 투자 및 라텍스 사업과의 시너지가 기대된다.

경남바이오파마는 지난 3월 코디엠의 3자 배정 유상증자에 20억원을 출자해 지분 4.3%를 보유하고 있었다.

초기 단순 투자목적으로 코디엠에 출자했던 경남바이오파마가 이번 기회에 자연스럽게 경영 참여를 고려하게 된 배경이다. 현재 지분율은 4%로 낮은 수준인만큼 경영권 인수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지분 매입이 필요하다. 현재는 기존 경영진이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경남바이오파마의 코디엠 투자는 당초 장갑(글로브) 사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결정이었다. 코디엠은 최근 코디엠 글러브 브랜드를 런칭했다. 식약처 인증과 의료기기 인증을 받은 라텍스, 니트릴 장갑을 식품제조업체 및 병원, 의료기관에 에 납품해오고 있다. 의료용 장갑 사업을 진행해온 경남바이오파마와 시너지가 기대되는 부분이다.

코디엠이 다수 바이오 신약기업에 투자를 활발히 진행 중인 것도 경남바이오파마 입장에서 경영권 인수 결정에 힘이 실리는 부분이다. 경남바이오파마는 경남제약과 함께 의약품 사업을 진행하며 신약개발 파이프라인도 늘려가고 있다.

코디엠은 종양 항암내성 극복 기술 개발 기업인 브이맥이뮤노테크,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업체인 퓨쳐메디신, 차세대 CAR-T(카티) 개발사인 미국 페프로민바이오 등에 투자하고 있다. 또 100% 자회사로 필러개발사를 두고 있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후보직 박탈-한덕수로 강제교체...파국 치닫는 국힘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러닝족은 귀하신 몸”…패션업계, 러너 체험 마케팅·전문관 봇물
  • ‘단종할 땐 언제고’...식품업계, 저비용·높은 화제성 노린 재출시 열풍
  • “유심 털리니 계좌도 걱정”…은행권, ‘얼굴 인증’ 강화
  • 죽은 연애 세포 되살려내는 '바이러스'…배두나·김윤석·장기하의 만남 [시네마천국]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 중국, 미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 칩 확보한 방법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00,000
    • +0.49%
    • 이더리움
    • 3,365,000
    • +2.5%
    • 비트코인 캐시
    • 590,500
    • +3.05%
    • 리플
    • 3,341
    • +1.18%
    • 솔라나
    • 239,900
    • +2.78%
    • 에이다
    • 1,121
    • +2.28%
    • 이오스
    • 1,357
    • +14.03%
    • 트론
    • 370
    • +1.93%
    • 스텔라루멘
    • 425
    • +0.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350
    • +4.86%
    • 체인링크
    • 22,870
    • +1.46%
    • 샌드박스
    • 484
    • +5.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