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서민도 돈 안 쓴다...美 현금예금 2조 달러 ‘사상 최대’

입력 2020-06-22 14: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은행들, 돈 속에서 헤엄치는 ‘스크루지 맥덕’ 같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미국 은행들이 사상 최대 규모의 예금 더미에 올라앉았다. 정부의 경기 부양책 덕에 개인 소득이 증가한 반면, 소비를 줄이고 돈을 은행에 모셔두면서 벌어진 일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따르면 지난 1월 미국 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이후 시중은행의 예금액이 2조 달러(약 2400조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한 달 동안에만 8650억 달러가 늘었는데, 이는 작년 전체 예금액보다 많은 것이다.

이에 대해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는 “은행들이 현금 속에서 헤엄치고 있다”고 비유했다.

특히 예금의 3분의 2 이상이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씨티그룹 등 자산 규모 상위 25개 대형 은행에 몰렸다.

브라이언 포란 오토노머스리서치 애널리스트는 “이 정도의 예금 증가는 아주 보기 드문 일”이라며 놀라워했다. 그러면서 “은행들은 마치 돈 속에서 수영하는 (만화 주인공) 스크루지 맥덕 같다”고 말했다.

이처럼 사상 전례 없는 예금 증가는 아이러니하게도 정부의 돈 풀기에서 비롯됐다.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고자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했는데, 이 돈이 은행 계좌로 고스란히 흘러 들어간 것이다. 미국 정부는 재난 특별 지원금 1200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한 데 이어 실업수당까지 추가로 제공했다. 이에 4월 개인소득은 10.5% 증가했다.

그런데 미국 전역에 봉쇄령이 떨어지고 서민들이 ‘집콕’에 들어가면서 돈 쓸 일이 없자 저축을 늘렸다. 미 경제분석국(BEA)에 따르면 4월 개인 저축률은 사상 최고 수준인 33%로 나타났다.

브라이언 모이니헌 BoA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CNBC와의 인터뷰에서 “5000달러 미만 당좌예금 잔고가 코로나 이전 대비 최대 40% 이상 늘었다”고 설명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현상을 두고 우려도 제기된다. 은행이 예금을 굴릴 만한 사용처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 자금이 시중에 돌지 않아 실물 경제 회복 속도가 더뎌질 수 있어서다. 포란 애널리스트는 “당장 보유한 현금을 갖고 할 일이 많지 않다는 게 많은 은행들의 처지”라면서 “가뜩이나 낮은 수준의 예금 금리가 더 낮아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S의 공포’ 촉발...글로벌 시장, 팬데믹급 충격 휘말려
  • 내수한파 방어할 새 경제수장 누구…전 장·차관 출신들 거론
  • 반도체 훈풍 속 입주 시작한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가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금융권 AI 활용…어디까지 왔을까요?
  • 'CFE' 지고 'RE100' 집중?…'백년지대계' 에너지 정책 운명은?
  • 尹 파면 격분해 곤봉으로 경찰버스 파손한 20대 남성, 구속 기로
  • ‘이강인 결장’ PSG, 프랑스 리그1 4시즌 연속 우승 성공…트레블 도전 ‘청신호’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129,000
    • -3.9%
    • 이더리움
    • 2,380,000
    • -10.29%
    • 비트코인 캐시
    • 409,300
    • -7.86%
    • 리플
    • 2,940
    • -6.84%
    • 솔라나
    • 160,000
    • -9.14%
    • 에이다
    • 868
    • -9.58%
    • 이오스
    • 1,082
    • -3.48%
    • 트론
    • 345
    • -1.99%
    • 스텔라루멘
    • 353
    • -4.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20
    • -10.55%
    • 체인링크
    • 17,000
    • -9.28%
    • 샌드박스
    • 348
    • -9.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