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엔젠바이오, 기술성 평가 A, A 통과.."연내 상장 목표"

입력 2020-07-15 09: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pre-IPO 투자로 58억 확보..IMM인베스트먼트, 케이런벤처스, 킹고투자파트너스 참여

엔젠바이오가 기술성 평가를 A, A 등급으로 통과했다. 엔젠바이오는 조만간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해 연내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엔젠바이오는 최근 두 곳의 기술평가기관이 진행한 기술성 평가에서 A, A 등급을 획득했다.

기술특례 상장을 위해서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기술평가기관 2곳에서 모두 BBB등급 이상을 받고, 적어도 한 곳에서는 A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엔젠바이오는 이번 A, A 등급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은 만큼 이른 시일 내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최대출 엔젠바이오 대표는 바이오스펙테이터와의 통화에서 "연내 코스닥 상장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엔젠바이오는 기업공개 절차에 앞서 지난 6월말 58억원 규모의 pre-IPO 투자유치에도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IMM인베스트먼트, 케이런벤처스, 킹고투자파트너스가 엔젠바이오의 보통주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금까지 엔젠바이오가 투자유치한 규모은 250억원 이상이다.

2015년 설립된 엔젠바이오는 최대출 대표가 암 동반 진단 관련 제품 연구, 개발을 위해 KT 사내 벤처로 출발했다. 엔젠바이오는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유전성 유방암·난소암 NGS 시약 패널 브라카아큐테스트(BRCAaccuTest)가 3등급 품목허가를 취득하는 등 NGS기반 유전자 진단 분야에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왔다.

특히 엔젠바이오는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상용화 경험을 통해 유전자 검사에서부터 질병정보, 데이터 품질정보, 누적된 변이 정보를 보관 및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를 정밀 진단에 활용해 차별화했다.

최근에는 신약 동반진단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일동제약 PARP저해제 동반진단 공동 개발을 위한 27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최 대표는 "현재 일동 외에도 다수의 국내외 제약사, 바이오벤처와 동반진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엔젠바이오의 최대주주는 최근 코스닥에 상장한 분자진단업체 젠큐릭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933,000
    • -2.47%
    • 이더리움
    • 2,293,000
    • -4.42%
    • 비트코인 캐시
    • 461,600
    • -3.87%
    • 리플
    • 3,020
    • -4.34%
    • 솔라나
    • 182,100
    • -6.28%
    • 에이다
    • 880
    • -5.88%
    • 이오스
    • 911
    • +2.82%
    • 트론
    • 369
    • +2.5%
    • 스텔라루멘
    • 343
    • -3.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70
    • -1.65%
    • 체인링크
    • 17,710
    • -4.58%
    • 샌드박스
    • 360
    • -4.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