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중대 국기문란, 국정조사·특검 불가피"

입력 2020-08-06 12: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대한 범죄 행위들 모습 드러내기 시작…명백히 밝혀야"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6일 검언유착 의혹 보도 직전에 일어난 청와대의 압박 폭로에 대해 "국가권력 시스템을 사유화하는 중대 국기문란인 만큼 국정조사나 특별검사를 통해 명백하게 밝혀야 할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출신인 권경애 변호사가 MBC의 보도 직전에 청와대 민정실로부터 발언을 멈추라는 압박성 전화를 받았다고 토로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실제 권 변호사는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MBC의 한동훈 검사장과 채널A 기자의 녹취록 보도 몇 시간 전에 한동훈은 반드시 내쫓을 거고 그에 대한 보도가 곧 나갈 거니 제발 페북을 그만두라는 전화를 받았다. 매주 대통령 주재 회의에 참석하시는, 방송을 관장하시는 분"이라고 폭로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 같은 분(대통령 주재 회의 참석)이 이런 일을 했다면 범죄행위이며, 권언유착이 아닐 수 없다"며 "당사자가 누구인지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권 변호사가 밝히면 제일 좋지만 그 역시 페이스북 글 내리라는 등의 커다란 압박 느낀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요즘은 디지털 증거가 다 남아있기 때문에 증거를 없앨 수 없으며, 진실은 묻힐 수 없다"고 덧붙였다.

주 원내대표는 "국기문란이라는 중대한 범죄 행위들이 권 변호사의 폭로를 통해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라며 "만약 방송통신위원회 쪽이라면 중립을 지켜야 할 방통위원장이 검언유착이 아니라 권언유착의 핵심으로 역할을 했다는 셈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통령을 직접 보좌하는 분이라면 그 또한 민정실과 함께 공권력이 방송의 중립성을 훼손하고 검언유착으로 몰아가려고 사전에 작업했던 것이 드러났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12,000
    • +0.74%
    • 이더리움
    • 2,347,000
    • +2.09%
    • 비트코인 캐시
    • 458,300
    • +3.45%
    • 리플
    • 3,054
    • +3.7%
    • 솔라나
    • 184,000
    • +4.84%
    • 에이다
    • 934
    • +2.08%
    • 이오스
    • 877
    • -4.78%
    • 트론
    • 362
    • +3.72%
    • 스텔라루멘
    • 350
    • +2.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10
    • +0.51%
    • 체인링크
    • 18,730
    • +1.57%
    • 샌드박스
    • 386
    • +1.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