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전미도 역시 마찬가지다. 전미도는 2006년 뮤지컬로 데뷔하고, 한국뮤지컬어워즈 여우주연상을 2회 연속 수상한 뮤지컬계 스타다. 하지만 대중들에겐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속 채송화가 더 익숙하다. 전미도는 드라마 시즌1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차기작으로 뮤지컬을 선택했다. 그가 공연으로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라 우려했던 공연 팬들에겐 희소식이었다.
또 다른 효과도 있었다. 공연을 잘 알지 못했던 관객들이 전미도를 보기 위해 대학로를 찾고 있다.
“실감이요? SNS에 게시글을 올렸을 때 댓글 달리는 속도를 보고 놀랐어요. 드라마의 채송화 역할뿐만 아니라 제 공연을 보러 오겠다는 이야기를 해주시는 걸 보면서 놀라기도 했죠.”
올해 ‘전미도 효과’라는 말도 생겼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27일까지 '어쩌면 해피엔딩' 공연은 잠정 중단하지만, 이전까지 연일 매진이었다.
관련 뉴스
“제가 활동했던 공연 영상들이 유튜브에 있잖아요. 처음엔 그걸 보신다는 게 부끄럽더라고요. ‘상 받은 뮤지컬 배우’라고 알려졌는데, 막상 보고 ‘이게 뭐야’ 하실까 봐요. 다행히 그 영상들을 보고 뮤지컬에 빠졌다는 분들이 많았어요. 새로운 관객이 유입된다는 것은 정말 잘 된 일이죠. 제가 그런 역할을 했다는 것도 정말 감사하고 기뻐요.”
‘어쩌면 해피엔딩’은 2018년 전미도에게 한국뮤지컬어워즈 여우주연상을 안겨준 작품이다. 옛 주인들로부터 쓸모없다는 이유로 버림을 받은 로봇 '클레어'와 '올리버'의 사랑을 그린다. 전미도는 “역시나 너무 좋다”고 말했다.
“극장 사이즈가 커져서 한 발 나가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숨도 차고 힘들어요. 초연 때와 무대 느낌도 많이 달라졌지만, 드라마가 가진 정서는 그대로라 적응은 빨리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대본이 새삼 정말 좋더라고요. 다시 한번 작가, 작곡가에게 천재라고, 대단하다고 말했어요.”

전미도에게 ‘어쩌면 해피엔딩’은 곧 ‘순수함’이다. 그는 ‘잘 아는 것 같은 마음’으로 무대에 서는 게 가장 무섭다고 했다.
“때 묻으면 안 되는 작품이에요. 연습을 많이 못 했다는 생각에 다 해봤는데, 결국 거둬내고 거둬냈어요. 순수함이 있고 없고에 따라 작품이 명품이 될지가 결정되는 거 같아요. 제 안의 순수함을 경계하고 바라봐요.”
그는 “공연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게 뮤지컬팬들은 든든한 지원군이다. 계속되는 그들의 응원을 보면, 10여 년 공연을 허투루 하지 않았다는 생각도 든다.
“80세까지 연기하고 싶어요. 나이 들었을 때 제 연기를 보고 싶어요. 항상 궁금해요. 김혜자ㆍ나문희 선생님 나이가 됐을 땐 어떤 연기를 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