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위기의 롯데쇼핑, 노사 갈등ㆍ노노갈등 해법 찾아야

입력 2020-09-09 1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금 동결과 복지 축소 등을 두고 롯데쇼핑이 한바탕 내부 분란을 겪고 있다. 사측이 노조 집행부와 근속 직원에 대한 포상을 축소하는 내용에 ‘깜깜이’로 합의한 후 전체 임직원에게 동의를 구하는 ‘선(先)조치, 후(後)보고’식 의사 결정이 이뤄진 탓이다.

이 과정에서 노사 대립은 노노(勞勞) 갈등으로 번지는 분위기다. 근속 포상 대상자인 고연차 직원과 대상자가 아닌 저연차 직원의 온도 차가 뚜렷하다.

분란이 계속되자 황범석 롯데쇼핑 백화점 부문 대표는 직원의 이해를 구하며 진화에 나섰다. 황 대표는 “창립 근속 포상은 상품권으로 변경해 지급하고, 그 재원을 ‘복지포인트’로 활용해 혜택 대상을 확대하는 것으로 개편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황 대표의 설명은 오히려 역효과를 냈다. 노조 집행부가 사측과 복지 축소에 합의했다는 소문에 그간 회사 측은 “정해진 바 없다”며 일축해 왔으나 결국 회사 입장이 며칠 새 바뀐 사실을 인정한 꼴이 됐기 때문이다.

이번 분란의 본질적인 원인은 소통 부재다.

롯데쇼핑이 코로나19 이후 초유의 위기상황을 겪고 있는 것은 롯데쇼핑 직원이라면 누구든 공감할 것이다. 따라서 회사 상황이 어려운 만큼 복지 축소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는 직원역시 적지 않다. 그럼에도 회사는 중요한 의사 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복지 개편의 대상인 직원들을 배제하는 우를 범했다.

최근 기자가 취재한 이 회사 복지제도 개편 관련 기사에는 ‘추가취재’를 원하는 독자 수가 급격히 늘었다. 회사에 실망한 직원들이 외부에 문제 해결을 기대는 모양새는 재계 순위 5위인 롯데그룹 대표 계열사의 위상에 걸맞지 않는다.

위기일수록 정면 돌파가 답이다. 의사 결정 과정의 문제점과 향후 계획에 대해 직원들에게 상세히, 공개하는 것이 먼저다. 롯데쇼핑은 현재 내부 인사시스템을 통해 임금 동결과 복지 개편에 대해 직원 동의를 받고 있다. 이 과정 역시 인사상 불이익의 우려 없이 투명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942,000
    • +0.07%
    • 이더리움
    • 2,650,000
    • +1.53%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0.57%
    • 리플
    • 3,177
    • +0.92%
    • 솔라나
    • 211,600
    • +0.14%
    • 에이다
    • 1,023
    • +3.23%
    • 이오스
    • 1,042
    • +2.46%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391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550
    • -0.74%
    • 체인링크
    • 20,610
    • -0.63%
    • 샌드박스
    • 408
    • -3.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