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서산 푸르지오 더 센트럴' 분양

입력 2020-09-27 11: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산 푸르지오 더 센트럴' 아파트 투시도. (자료 제공=대우건설)
▲'서산 푸르지오 더 센트럴' 아파트 투시도. (자료 제공=대우건설)

대우건설이 충남 서산시 예천동 일대에서 '서산 푸르지오 더 센트럴' 아파트를 분양 중이다.

서산 푸르지오 더 센트럴은 지하 2층, 지상 최고 25층짜리 10개 동에 총 861가구(전용면적 69~99㎡) 규모로 조성된다.

예천동은 서산의 신시가지로 서해로와 고운로, 중의로를 통해 시내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당진ㆍ태안ㆍ홍성 등 인근 지역 접근성도 좋다. 인근에 버스정류장이 위치해 대중교통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롯데마트와 하나로마트가 인접하고, CGV서산, 해든아트홀 등 문화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서산시청과 대전지방법원, 경찰서 등 관공서도 가깝다.

단지 바로 옆에 서남초와 서남초 병설유치원이 있어 도보통학이 가능하다. 예천초를 비롯해 서산중, 서산여중·여고, 석림중, 서산중앙고 등도 가까이 있다.

중앙호수공원도 도보권에 있다. 이 공원에는 약 7만1841㎡규모로 음악분수와 원형광장, 산책로, 어린이놀이터 등 각종 문화·운동시설이 갖춰져 있다.

서산시는 국내 3대 석유화학 단지인 대산 석유화학 단지를 비롯해 서산 바이오웰빙특구, 서산 오토밸리, 서산 테크노밸리 등 10여 개의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돼 있거나 계획 중이다. 최근엔 현대오일뱅크가 대산 첨단화학단지 공장 신설을 위해 2조8900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시장에선 약 1000여 명의 고용 증가와 매년 1조5000억 원 규모의 생산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한다.

현대건설과 현대모비스가 서산 바이오 웰빙특구에 조성하는 자동차 직선주행시험로도 1조7500억 원 규모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험로는 내년 완공 예정이다.

서산 푸르지오 더 센트럴의 분양가는 3.3㎡당 평균 964만 원대다. 비규제지역에서 선보이는 단지여서 계약금(10%)만 납부하면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다.

견본주택은 예천동 일대에 마련됐다. 입주는 2022년 12월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00,000
    • +0.07%
    • 이더리움
    • 2,331,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469,800
    • +0.21%
    • 리플
    • 3,066
    • -0.94%
    • 솔라나
    • 189,300
    • +0.69%
    • 에이다
    • 892
    • -1.22%
    • 이오스
    • 926
    • +7.18%
    • 트론
    • 367
    • +1.66%
    • 스텔라루멘
    • 344
    • -0.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880
    • +0.74%
    • 체인링크
    • 18,020
    • +0.45%
    • 샌드박스
    • 360
    • -1.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