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韓 6대 신산업 R&D 투자액, 글로벌 기업의 1% 수준"

입력 2020-10-0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산업 투자 비중도 8% 수준…글로벌 41%"

6대 신산업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연구ㆍ개발(R&D) 투자 수준이 글로벌 기업에 크게 못 미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6대 신산업이란 △제약ㆍ바이오ㆍ생명과학 △헬스케어 △IT서비스ㆍ소프트웨어 △인터넷ㆍ전자상거래 △미디어ㆍ엔터테인먼트 △통신서비스 등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국내와 글로벌 500대 기업의 R&D 투자를 분석한 결과 작년 기준 국내 기업의 6대 신산업 분야 R&D 집중도는 4.1%였다고 6일 밝혔다.

R&D 집중도란 R&D 투자금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이다. 매출액에서 투자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같은 기간 글로벌 기업 평균이 12%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6대 신산업 모두 뒤처져…투자 규모는 글로벌 1/100 수준

(출처=한경연)
(출처=한경연)

부문별로 보면 신산업 6개 모두 글로벌 기업에 뒤처졌다. 특히 IT서비스ㆍ소프트웨어와 인터넷ㆍ전자상거래는 집중도가 각각 1.3%, 1.2%로 10% 수준인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가 가장 컸다.

신산업 R&D 투자액 규모로 보면 차이는 더 크다.

한경연에 따르면 글로벌 500대 기업의 6대 신산업 평균 R&D 투자 규모는 24억7000만 달러였다. 국내 500대 기업 평균 2500만 달러의 100배 수준이다.

국내 기업 중 6대 신산업 분야별 글로벌 R&D 투자 100대 기업에 속하는 곳은 13개 곳이 전부다. 그마저도 △제약ㆍ바이오ㆍ생명과학 △헬스케어 △IT서비스ㆍ소프트웨어 등 부문에서는 단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지난해 제약ㆍ바이오 분야 R&D 투자 국내 1위인 한미약품의 투자액은 1억7000만 달러(약 2000억 원)로 세계 1위 기업인 로슈(131억9000만 달러)의 1.3% 수준이었다. IT서비스 분야 국내 1위인 삼성SDS는 6000만 달러로 세계 1위 마이크로소프트(180억 달러) 투자금액의 1%에도 못 미쳤다.

신산업 R&D 투자비중도…한국 8% vs 글로벌 41%

전체 R&D 투자에서 국내 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마찬가지다.

국내 500대 기업의 전체 R&D 투자에서 6대 신산업의 R&D 비중은 8%로 전통 사업이 약 12배 더 컸다.

이에 비해 글로벌 500대 기업의 경우 신산업 R&D 비중이 41%였다.

특히 미국은 6대 신산업 R&D 투자 비중이 60.9%로 전통산업보다 1.5배 크다. 일본과 중국도 각각 21.8%, 19.1%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국은 반도체 등 IT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술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지만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등 서비스업 비중이 큰 신산업 분야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규제 완화 및 세제 지원 확대 등 기업의 R&D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미래의 주요 먹거리가 될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협력+경쟁’ 시대…산업 생태계 新 생존 키워드 [2025 ‘코피티션’ 上]
  • 전 세계 中 공세 '방어막'…무방비국 된 韓 [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 下]
  • 의대생 수업 복귀 ‘미지수’…강의실 ‘텅텅’ [의대정원 ‘동결’ 그 후]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폴더블폰 전쟁 뛰어든 애플… 삼성의 '위기와 기회'
  • “트럼프 투자 요구할라” 셈법 복잡해진 조선사들
  • 모은 돈이 세력?…이재명·한동훈, 후원금도 경쟁 붙은 2025 대선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58,000
    • +6.4%
    • 이더리움
    • 2,521,000
    • +10.76%
    • 비트코인 캐시
    • 521,000
    • +4.93%
    • 리플
    • 3,179
    • +5.9%
    • 솔라나
    • 213,400
    • +8.43%
    • 에이다
    • 977
    • +8.8%
    • 이오스
    • 957
    • +5.51%
    • 트론
    • 357
    • +0.56%
    • 스텔라루멘
    • 381
    • +5.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60
    • +6.16%
    • 체인링크
    • 20,290
    • +7.47%
    • 샌드박스
    • 423
    • +7.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