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국감] 캠코 최근 5년 무담보채권 회수율 5.6%에 그쳐

입력 2020-10-20 13: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홍성국 의원 “코로나19로 상황 더 나빠질 것... 장기적 관점의 관리 계획 마련해야”

▲국회 정무위원회 홍성국 의원
▲국회 정무위원회 홍성국 의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최근 5년간 인수한 무담보채권 18조5000억 원 중 회수된 금액은 1조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수율은 5.6%이다.

캠코는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인수·정리와 금융취약계층의 재기지원, 국유재산관리 등을 주된 업무로 하는 공적자산정리 전문기관이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이 캠코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캠코는 2016년부터 올 7월까지 누적 18조5687억 원 규모의 무담보채권을 5110억 원에 매입해 1조436억 원을 회수했다.

투입액 대비 회수율 204%라는 캠코의 선방에도 불구, 당초 채권액 전체를 놓고 보면 회수율은 5.6%에 불과했다. 금융기관이 담보나 보증 없이 빌려주고 연체가 발생해 캠코로 넘어간 채권의 94%는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연도별로는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한 회수율 감소가 두드러졌다. 올해 7월까지 인수한 무담보채권의 회수율은 0.03%였다. 작년 전체 회수율 3.6%, 재작년 6.4%와 비교하면 눈에 띄게 낮은 수준이다.

홍 의원은 “한시적 지원으로 개인과 가계금융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동시에, 위기 극복 이후 원활한 채권 회수를 위한 장기적 관점의 계획을 반드시 가져가야 한다”며 “무엇보다도 취약 채무자가 스스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책금융의 역할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기업 회장님도 유느님도 탔던 '제네시스'…럭셔리 국산차의 산 증인 [셀럽의카]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이젠 모르겠다” 월가, 트럼프발 증시 급등락에 한숨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폭싹 속았수다’로 왕좌 굳힌 넷플릭스…쿠팡·티빙은 2위 쟁탈전
  • 트럼프, 중국에 ‘145%’ 관세…시진핑은 동남아 3국으로 ‘우방 결속’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 법원, 尹 ‘내란 혐의’ 재판 출석 시 지하출입 허용…일반차량은 통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999,000
    • +0.14%
    • 이더리움
    • 2,304,000
    • -2.25%
    • 비트코인 캐시
    • 446,800
    • +2.64%
    • 리플
    • 2,963
    • +0.34%
    • 솔라나
    • 173,300
    • +2.61%
    • 에이다
    • 927
    • +0.76%
    • 이오스
    • 930
    • -5.01%
    • 트론
    • 349
    • -2.51%
    • 스텔라루멘
    • 347
    • +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10
    • +0.39%
    • 체인링크
    • 18,460
    • +1.26%
    • 샌드박스
    • 384
    • +2.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