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한국중부발전과 해외수력시장 진출 위한 업무협약 체결

입력 2020-11-12 08: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외 수력사업 공동 개발…수력발전 기자재ㆍ설계 국산화 및 공급

▲11일 두산중공업 창원 본사에서 열린 해외수력사업 공동개발 및 국산 기자재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에서 노웅환 한국중부발전 사업본부장 (왼쪽)과 나기용 두산중공업 부사장이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중공업)
▲11일 두산중공업 창원 본사에서 열린 해외수력사업 공동개발 및 국산 기자재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에서 노웅환 한국중부발전 사업본부장 (왼쪽)과 나기용 두산중공업 부사장이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중공업)

두산중공업은 한국중부발전과 해외 수력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11일 두산중공업 창원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노웅환 중부발전 사업본부장, 나기용 두산중공업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신규 해외 수력발전사업 공동개발’, ‘수력발전 분야 기자재ㆍ설계 국산화 및 수출을 위한 판로개척’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중부발전은 2016년부터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 위치한 45MW(메가와트)급 왐푸 수력발전소를, 2018년부터는 55.4MW급 땅가무스 수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인도네시아에서 다수의 수력발전 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1980년대부터 수력발전사업을 시작해 3100MW 규모의 국내 수력발전소에 주계약자로 참여했으며 미국, 인도, 필리핀 등 해외 수력발전소에도 주요 기자재를 공급해왔다.

지난달에는 4000억 원 규모의 네팔 어퍼트리슐리-1 수력발전소를 수주한 데 이어, 파키스탄 수력발전 사업 참여도 추진하는 등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나기용 두산중공업 부사장은 “이번 협약으로 해외 업체들이 주도해 온 국내외 수력발전 시장에서 사업 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며 “주요 기자재 제작과 설계 등에서 국산화를 제고하고, 국내 수력발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9월, 수력발전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인 오스트리아 안드리츠와 사업 및 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하면서 수력발전 설계 기술의 자립 기반을 구축한 바 있다. 또 한수원과 공동으로 수력발전용 30MW급 수차ㆍ발전기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77,000
    • +1.06%
    • 이더리움
    • 2,334,000
    • +0.6%
    • 비트코인 캐시
    • 504,500
    • +9.86%
    • 리플
    • 3,200
    • +6.6%
    • 솔라나
    • 189,100
    • +3.96%
    • 에이다
    • 949
    • +2.37%
    • 이오스
    • 949
    • +7.47%
    • 트론
    • 359
    • -1.37%
    • 스텔라루멘
    • 361
    • +4.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020
    • +1.2%
    • 체인링크
    • 18,720
    • +0.81%
    • 샌드박스
    • 384
    • +0.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