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기술수출, 매년 새 역사 쓰는데…정부 R&D 지원은 '아마추어'

입력 2020-11-18 15:53 수정 2020-11-18 17: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술수출 역대 최대ㆍ우수과제 선정 매년 23%…정부 지원 바탕으로 기술수출ㆍ이전은 제한적

▲연구실 모습
▲연구실 모습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의 연간 기술수출이 10조 원에 육박하고 있지만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사례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정부가 연구과제를 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업계의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평가 기준을 다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의 기술수출 건수는 지난달 말 기준 총 12건으로 9조5962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에는 총 13건, 5조3706억 원의 기술수출을 기록했고, 2019년에는 총 14건에 대해 8조5165억 원어치 기술수출 성과를 올려 매년 성장세를 이어갔다.

정부 지원을 받은 의료·바이오 분야 연구과제 중 우수연구로 선정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회평가원이 최근 3년간 발표한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가운데 의료ㆍ바이오 분야 비중은 2018년 27개, 1019년 24개, 2020년 19개로 집계돼 평균 23%를 차지했다.

과기부는 정부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개발(R&D) 과제 가운데 2006년부터 우수연구를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100건의 우수연구 과제 선정에 각 부ㆍ처ㆍ청이 추천한 780건의 후보성과가 올라왔고, 산ㆍ학ㆍ연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위원회가 최종 100건의 우수성과를 선정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의료ㆍ바이오 분야가 주로 속하는 생명해양 분과에 들어오는 우수연구 사례는 매년 여타 분과보다 2~3배씩 많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매년 의료ㆍ바이오 분야에서 우수연구로 선정되는 건수는 적지 않지만, 기술수출이나 기술이전 성과로 이어진 사례는 매년 3건에 불과했다. 올해는 우수연구 가운데 SK바이오팜, 지아이이노베이션, 메디포럼제약의 성과가 기술수출ㆍ이전으로 이어졌다.

SK바이오팜이 독자 개발한 성인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는 이번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서 생명·해양 분야 최우수 성과로 선정됐다. 세노바메이트는 국내 제약사가 후보 물질 발굴부터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까지 전 과정을 독자 진행한 최초의 신약이다. 세노바메이트는 지난해 스위스 제약사 아벨 테라퓨틱스와 유럽 32개 국가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고, 지난달에는 오노약품공업과 기술수출 계약을 통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며 일본 내 개발 및 상업화를 구체화했다.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2017년 설립된 비상장 신생 바이오벤처인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전임상단계의 신약후보물질 ‘GI-101’로 우수성과 100선에 꼽협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지난해 11월 중국 제약사인 심시어와 9000억 원 규모의 이중융합 면역항암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국내 바이오제약기업의 중국 기술이전 사례 중 역대 최대 규모다. 메디포럼의 MF018(비마약성 진통제) 또한 기술이전과 식약처 임상 2상 승인이라는 성과를 올려 눈길을 끌었다.

우수연구로 선정된 의료ㆍ바이오 분야의 연구과제 중 기술수출ㆍ이전 건수가 제한적인 것과 관련해 업계에서는 정부의 지원 방향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현재 국내 제약ㆍ바이오 업계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은 부처별 혹인 범부처 차원으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행정 편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업계 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만한 기술인지 판단하는 혜안을 키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전임상 데이터의 경우 기술수출이나 이전 등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 만큼 사업성을 따지는 게 중요한데 아직은 그런 부분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정부 지원 과제를 선정할 때 초반에는 연구개발 기술 자체인 가능성만 보고 폭넓게 지원해주는 게 맞지만, 전임상 단계에선 사업성도 봐야 한다”면서 “기술수출이 시작된 지 5년에 불과하고, 지금 탄력을 받는 만큼 새로운 평가기준과 잣대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해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연구비 지원 대상 선정에 업계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상무는 “연구과제로 선정돼 연구비를 받아 연구를 시행했지만, 기한 내 못 끝내면 해당 회사는 같은 주제의 연구에 대해 연구비를 더 받을 수 없는 구조”라며 “대학이나 벤처기업은 기한 내 연구를 끝낼 수 있을 만큼 정교하게 설계하는 실력이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중복성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라고 강조했다.

바이오 신약은 개발 기간이 최소 10년이 걸릴 정도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현재 정부의 관리 조직은 이같은 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업계 관계자는 “과제 수주 전 제안요청서(RFP) 선정을 위한 수요 조사 시 특정 시기 유행에 따라 편향된 주제가 선정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바이오 신약의 개발기간이 길다는 특성을 고려해 장기적인 개발 전략으로 범부처 과제 관리 조직을 활성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기도 품절이라고요?"…Z세대 '뷰티 방앗간' 된 다이소, 다음 대란템은? [솔드아웃]
  • ‘슈팅스타’ 오늘 첫 방송…‘큰 산’ 최강야구 넘을까? [해시태그]
  • 우리은행장 교체 수순…차기 행장 후보 내주 윤곽 나올 듯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게임 후보 6선…각 작품 경쟁력은? [딥인더게임]
  • "동덕여대 손해배상 상대 특정 어려워…소송 쉽지 않을 것"
  • 트럼프 등에 업은 머스크, 베이조스 겨냥…“그는 트럼프 패배 원했다”
  • 이재명, 또 입단속…“거친 언행 주의해달라”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70,000
    • -0.33%
    • 이더리움
    • 4,600,000
    • -2.5%
    • 비트코인 캐시
    • 676,000
    • -0.37%
    • 리플
    • 2,044
    • +21.45%
    • 솔라나
    • 354,600
    • -0.62%
    • 에이다
    • 1,425
    • +25.11%
    • 이오스
    • 1,044
    • +12.62%
    • 트론
    • 284
    • +2.53%
    • 스텔라루멘
    • 488
    • +37.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100
    • -3.57%
    • 체인링크
    • 22,050
    • +5.76%
    • 샌드박스
    • 512
    • +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