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2020 스마트 건설기술ㆍ안전대전’서 첨단 건설기술 소개

입력 2020-11-26 09: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이트클라우드’, ‘콘셉트엑스’ 등 소개

▲9월 개최된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0’경연대회에서 두산인프라코어 장비가 굴착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인프라코어)
▲9월 개최된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0’경연대회에서 두산인프라코어 장비가 굴착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인프라코어)

두산인프라코어가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0 스마트 건설기술ㆍ안전대전’에 참가한다.

‘스마트 건설기술ㆍ안전대전’은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 건설기술 전문행사다.

이번 전시회 참가업체 중 가장 큰 규모로 참여하는 두산인프라코어는 △사이트클라우드 △콘셉트엑스 △ARㆍVR을 활용한 고장예측 및 진단기술(PHM) △휠로더 투명버킷 기술 △수소연료전지드론 △스마트 드릴링 로봇 등 첨단 건설기술을 소개한다.

‘사이트클라우드’는 건설현장 종합관리 솔루션으로, 3차원 드론 측량과 고유 플랫폼을 활용해 토공량 분석 및 최적 시공 계획을 1~2일 만에 산출할 수 있다.

‘콘셉트엑스’는 건설현장 무인자동화 통합관제솔루션으로 지난해 11월 세계 최초로 시연회를 통해 외부에 공개한 바 있다.

이날 행사에는 9월 국토부가 개최한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0’ 경연대회의 시상식도 열린다.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0’은 스마트 건설기술 성과를 알리고 현장 적용을 독려하려는 목적으로 개최한 경연대회다.

두산인프라코어는 ‘토공자동화 및 첨단측량’ 부문에서 사이트클라우드와 머신컨트롤 기술을 인정받아 대상인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받는다. 머신 컨트롤이란 입력된 도면에 맞춰 작업을 반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두산인프라코어 관계자는 “지난해 건설현장 무인자동화 솔루션을 세계 최초로 선보인 데 이어 올해 사이트클라우드 출시로 스마트 건설현장 구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향후 다양한 솔루션들을 순차적으로 상용화해 건설산업의 새로운 미래 구현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시회 중에는 ‘스마트건설 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세미나도 열릴 예정이다. ‘스마트 건설 포럼’은 스마트 건설기술의 국내 활성화 및 보급을 목표로 산학연 기관 대표자 37명이 모여 결성한 단체로 이날 창단식을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첨단 산업 인재 부족 '초비상' [두뇌유출 上]
  • 다시 온 트럼프, 100일간의 역주행 [트럼프 2기 취임 100일]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손영택 총리 비서실장 사직…한덕수 출마 시그널?
  • 간병인부터 자녀까지…몰래 돈 빼내고 집 팔아먹기도 [시니어 지갑이 위험하다上 ]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바이오부터 의료AI까지…‘인재 사관학교’가 산업을 움직인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12: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264,000
    • -0.76%
    • 이더리움
    • 2,570,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1.85%
    • 리플
    • 3,253
    • +3.37%
    • 솔라나
    • 214,000
    • +0.52%
    • 에이다
    • 1,018
    • +0%
    • 이오스
    • 979
    • -0.41%
    • 트론
    • 352
    • -3.56%
    • 스텔라루멘
    • 414
    • -1.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200
    • -7.03%
    • 체인링크
    • 21,330
    • +0.05%
    • 샌드박스
    • 427
    • -3.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