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기업 4곳 중 1곳 '구조조정'

입력 2020-12-14 09: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인크루트)
(사진제공=인크루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에도 ‘한파’가 불어닥쳤다. 따라서 기업들의 인력 감원도 현실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인크루트가 기업 711곳을 대상으로 올해 구조조정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참여기업 중 24.7%는 올해 구조조정을 실시했다고 답했다. 기업 4곳 중 1곳이 구조조정을 한 셈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구조조정을 실시했다고 답한 비중이 대기업(46.2%)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중견기업(27.7%), 중소기업(22.9%) 순이다.

업종별로는 여행·숙박·항공(35.3%)에서 가장 많은 구조조정이 실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제조업(34.6%), 식음료·외식(29.8%), 기계·금속·조선(29.5%) 등도 비율이 높았다.

2분기(24.0%), 3분기(19.3%), 4분기(18.1%) 순으로 확인됐지만, 이에 앞서 상시(27.5%) 진행됐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구조조정 배경으로는 ‘코로나19 경영난’(37.2%)이 1위에 꼽혀 현 시국을 반영했다. 이어서 ‘조직 재정비’(21.2%), ‘대표,경영진 재량으로 알 수 없음’(16.4%), ‘희망퇴직’(14.0%) 등을 이유로 들었다.

특기할 점은 올해 구조조정 규모가 예년보다 높았다고 입을 모은 점이다. 올해 감원 규모가 작년과 비교해 ‘많았다’(66.5%)고 답한 기업이 ‘같았다’(21.8%), ‘적었다’(11.8%) 대비 월등히 높은 점이 이를 증명한다. 더욱이 2021년 내년도 구조조정 계획이 28.8%로 올해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해 기업들의 감원 한파가 올해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구조조정 대상자도 많았다. 4분의 1 가량은 ‘코로나19 여파 부서별 또는 직군별 인원’(17.4%) 및 ‘코로나19 여파 전 직원의 일정 비율’(10.4%) 등 전 임직원에 해당됐다. 물론 ‘저성과자’(15.3%), ‘정년에 가까운 재직자’(12.2%), ‘고액연봉자’(6.9%), ‘기강해이 대상자’(6.9%) 등 별도의 감원 기준이 존재했다. 또한 ‘희망퇴직 의사가 있다면 누구나’(19.8%)란 답변도 나왔다.

본 조사는 이달 3일부터 7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 기업회원 711명의 응답을 참고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77%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한미 정상 첫 통화, 韓 대행 "조선, LNG, 무역균형 3대 분야서 협력" [종합]
  • 카카오, 선택과 집중…카카오엔터 매각 추진
  • K-제약·바이오, 항암신약 성과 ‘AACR 2025’서 뽐낸다
  • 매운소스 2t·닭 1200마리로 찾아낸 ‘불닭’ 매운맛, 자꾸만 생각나는 이유[K-라면 신의 한수③]
  • 배터리 ‘탈중국’ 속도 내지만…갈길 먼 소재업체 [공급망 전쟁의 서막③]
  • 금융지주 실적 갉아먹는 신탁사… 그룹 부실 최종 종착지[선넘은 신탁사 부실下] ①
  • 홍상수·김민희 득남…만남 10년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15: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645,000
    • -2.69%
    • 이더리움
    • 2,200,000
    • -6.82%
    • 비트코인 캐시
    • 410,000
    • -0.99%
    • 리플
    • 2,716
    • -3%
    • 솔라나
    • 158,900
    • -2.99%
    • 에이다
    • 854
    • -2.51%
    • 이오스
    • 992
    • -9.9%
    • 트론
    • 343
    • -1.44%
    • 스텔라루멘
    • 332
    • -3.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8,920
    • -4.14%
    • 체인링크
    • 16,680
    • -3.92%
    • 샌드박스
    • 357
    • -0.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