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차세대 열교환기 시장 공략…“연료전지, LNG 선박 등 공급 확대”

입력 2020-12-23 09: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PCHE 설계ㆍ공정기술 개발 및 600톤급 고온 프레스 설치 완료

두산중공업이 ‘차세대 열교환기’로 불리는 PCHE(인쇄회로 기판형 열교환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핵심 기술인 유로 설계 및 공정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대형 PCHE 제작이 가능한 600톤급 고온 프레스(고온 확산 접합로) 설치를 최근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

열교환기는 두 개 이상의 유체(물, 공기, 수소, 질소 등) 사이에서 유체의 냉각 또는 온도를 높이는 목적으로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PCHE는, 화학적 방식으로 미세한 유체 이동로를 기판에 부식ㆍ가공하고 여러 층으로 적층한 후 고온, 고압을 가해 제작된 업그레이드형 열교환기이다.

PCHE는 기존 전열관형 방식 열교환기에 비해 10분의 1 이하로 축소 제작이 가능해 90% 이상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 초합금 등 고급 재질을 사용해 초고온(900℃ 이하), 초고압(1500bar 이하)의 가혹한 운전 환경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컴팩트한 사이즈의 PCHE는 제한된 공간 내 열교환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국내 수소충전소용 PCHE 시제품을 수주해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현재 후속 프로젝트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이번 600톤급 고온 프레스 설치를 통해 가스터빈,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용 대형 PCHE를 수주, 제작하게 됐다.

두산중공업 나기용 부사장은 “발전용 열교환기 설계 역량을 보유한 전문연구인력을 활용해 유로 설계 핵심 기술을 확보했으며, 기존 단조 프레스 운영 경험을 토대로 PCHE 제조 역량을 조기에 갖췄다”라며 “앞으로 수소, LNG 선박, 가스터빈, 연료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PCHE 관련 국내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약 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9년 만에 출국 준비…K팝, '금기의 중국 무대' 다시 노린다 [엔터로그]
  • 서울고법, ‘李 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공판 6월 18일로 연기
  • 최태원 SK회장 공식사과..."문제해결 위해 책임 다하겠다"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단독 “차액가맹금 돌려달라”…맘스터치 가맹점주 200여명도 소송 나섰다
  • 범죄 피해 입었을 때 빠르게 회복하려면…‘범죄 피해자 구조금 제도’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빅딜 시동 건 삼성전자, 다음 M&A 타깃은
  • 김병환 "3단계 DSR, 지방엔 차등 적용…MG손보 처리방안은 이달 중 발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380,000
    • +2.04%
    • 이더리움
    • 2,607,000
    • +1.44%
    • 비트코인 캐시
    • 529,000
    • +2.82%
    • 리플
    • 3,041
    • +1.64%
    • 솔라나
    • 209,100
    • +1.36%
    • 에이다
    • 969
    • +2.87%
    • 이오스
    • 1,025
    • +4.27%
    • 트론
    • 347
    • -0.86%
    • 스텔라루멘
    • 370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950
    • -0.29%
    • 체인링크
    • 19,760
    • +2.76%
    • 샌드박스
    • 390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