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회생을 신청한 뒤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쌍용자동차가 1~2월 임직원의 임금을 50%만 주기로 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예병태 쌍용차 사장은 이날 사내 게시판을 통해 "고육지책의 일환으로 1월과 2월 급여를 부분적으로 지급할 수밖에 없다"라며 "최악의 상황까지 도래하게 돼 마음이 무겁고 면목이 없다"고 밝혔다.
쌍용차는 지난달 기업회생을 신청한 뒤 일부 대기업 협력업체가 납품을 거부하자 계약을 연장하는 대신 일 단위로 현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부품을 공급받고 있다. 이에 유동성 자금이 고갈되며 임금 부분 지급이라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예 사장은 "영세 협력업체는 현금으로 자재 대금을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대금 미지급으로 이들 업체가 부도로 이어지면 도미노식의 부품 기반 붕괴는 물론 우리도 생산 자체가 파행을 겪는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이어 "지난달 만기도래 어음 중 미결제분과 1, 2월 어음만기 일부 결제 등으로 자재 대금이 반드시 지급돼야 하는 점도 자금 수지가 급격히 악화한 이유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쌍용차는 29일 1800억∼2000억 원 규모의 어음 만기가 도래한다. 쌍용차의 350여 개 중소 부품 협력사로 구성된 쌍용차 협동회는 지난해 10월부터 받지 못한 납품 대금이 5000억 원 이상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현재로써 유일한 해결책인 새 주인 찾기도 난항을 겪고 있다.
쌍용차는 산업은행,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 유력 투자자로 알려진 HAAH오토모티브와 협의체를 구성해 지분 매각을 논의해왔지만, 이견이 있어 아직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상태다.